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지속가능한 건축물 접근을 위한 BIM 기반 건축설계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G-SEED(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중심으로 -A Study on the Assessment Method of BIM-based Architectural Design for Approaching Sustainable Architecture - Focused on G-SEED in Korea -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ssessment Method of BIM-based Architectural Design for Approaching Sustainable Architecture - Focused on G-SEED in Korea -
Authors
김익성김미경전한종
Issue Date
Oct-2013
Publisher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Keywords
GBT(Green BIM Template);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Sustainable Architecture; G-SEED(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Citation
디자인융복합연구(구.인포디자인이슈), v.12, no.5, pp.127 - 140
Indexed
KCI
Journal Title
디자인융복합연구(구.인포디자인이슈)
Volume
12
Number
5
Start Page
127
End Page
14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61723
ISSN
2287-4089
Abstract
건설산업은 생태환경과 인간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 요인들을 많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지속가능한 건축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지속가능한 건축은 건설 산업이 지속가능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 주며 관련 정보 및 기준은 인증제도를 참고할 수 있다.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자체 기준을 반영한 국가별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를 보유하고 있다. 미국의 LEED, 일본의 CASBEE, 국내에서는 G-SEED가 현재 시행중에 있다. 그러나 평가환경에 있어 사용자들이 문서화된 세부항목을 체크리스트 형식으로 접근하고 있어 지속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한 통합적인 성찰이 쉽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을 시스템으로 구성할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BIM 기반 G-SEED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건축의 접근방법으로 보조해 줄 수 있는 평가환경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사용자의 상황을 고려한 보다 폭넓은 접근이 가능하며 정보 분석 및 관리를 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향상된 지속가능한 건축으로의 길잡이가 될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공과대학 > 서울 건축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Jun, Han jong photo

Jun, Han jong
COLLEGE OF ENGINEERING (SCHOOL OF ARCHITEC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