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토지이용 특성별 서울시 역세권의 범위설정에 관한 연구A Study on Spatial Range of Seoul Subway Station Area on Characteristics of Land Use

Other Titles
A Study on Spatial Range of Seoul Subway Station Area on Characteristics of Land Use
Authors
김수연엄선용이명훈
Issue Date
Feb-2013
Publisher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Keywords
Subway Station Area; Spatial Range of Subway Station; Characteristics of Land Use; Development Density; Distance; 역세권; 역세권의 범위; 토지이용 특성; 개발밀도; 거리
Citation
국토계획, v.48, no.1, pp.23 - 37
Indexed
KCI
Journal Title
국토계획
Volume
48
Number
1
Start Page
23
End Page
37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63404
ISSN
1226-7147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Subway Station Area by characteristics of land use, and to analyze spatial range of categorized Subway Station Area by development density. First, this study analyzed characteristics of land use in Subway Station Area with the cluster analysis from ratio of land use. Second, this study calculated distance between the station and blocks. Third, this study analyzed spatial range of categorized Subway Station Area based on development density by CHAID analysis. As a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land use are categorized with 4 clusters(commercial-official mixed-use area, high-height housing area, manufactural area, low-height housing and Retail area). Also the 1st infiection point appeared about 300m across all the categories. And the 2nd inflection point appeared differently by category of Subway Station Area(Commercial-Official mixed-use Area : 946m, High-height Housing Area: 781m, Manufactural Area : 446m, Low-height Housing and Retail Area : 806m). 그러나 고밀도시에서의 고밀화 전략은 교통 혼잡 등의 사회적 비용의 증대와 이로 인한 대기질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성현곤 외, 2006). 역세권 고밀개발을 위한 구역 지정 과정이 각각의 역세권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지 못한 채 획일적으로 수행될 경우 재정비촉진지구에서 발생한 도시내부의 난개발 문제를 역세권에서도 반복적으로 경험하게 될 것이다(김옥연, 2010). 지속가능한 도시공간구조 형성을 위해서는 해당 역세권의 단편적인 개발은 지양되어야 한다. 도시 전체의 공간구조의 개편, 대중교통 접근성 향상, 고밀개발의 외부효과 최소화를 위한 도시설계적 대안의 강구 등이 함께 고려되어야 하는 것이다(이창무 외, 2007). 이와 같은 맥락에서 역세권은 단순히 주택의 양적 공급 대상이 아니라 도시공간전체에서 계획적으로 관리되어야 할 지역이며(김옥연, 2010), 역세권개발은 다양한 정책적 지원과 신중한 접근이 수반되어야 한다. 그러나 역세권 개발의 기본이 되는 역세권 범위에 대해서는 해당 역세권의 현황과 도시 전체 차원에서의 기능 등을 고려하지 않은 채, 대부분「도시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 시행령」에서 규정된 역으로부터 반경 500미터를 준용하고 있다. 지역 특성을 반영하지 않은 역세권 관리는 지나친 규제의 완화로 인한 난개발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이용자와 개발수요를 고려하지 못한 규제는 역세권이 가진 잠재력의 효율적 활용을 저해할 수 있다. 역세권 범위는 역세권 개발의 용량과 비용, 토지이용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제한된 토지의 합리적인 이용과 관리, 적정수준의 기반시설 공급을 위하여 역 주변의 토지이용 특성 등을 고려하여 역세권 범위를 설정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지속가능한 도시공간구조의 형성의 관점에서 토지이용 특성을 중심으로 역세권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 역세권의 범위를 설정하여 합리적인 규제 완화 및 정책적 지원에 일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도시대학원 > 서울 도시·지역개발경영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Myeong Hun photo

LEE, Myeong Hun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 (DEPARTMENT OF URBAN AND REGIONAL DEVELOPMENT)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