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CCS 연계 이산화탄소에 의한 오일회수증진법의 잠재력과 전망Potential Opportunities and Outlook of CO2 Enhanced Oil Recovery Associated with CCS

Other Titles
Potential Opportunities and Outlook of CO2 Enhanced Oil Recovery Associated with CCS
Authors
이근상김현태김진웅손한암
Issue Date
Oct-2012
Publisher
한국자원공학회
Keywords
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 Carbon dioxide enhanced oil recovery (CO2 EOR); Anthropogenic CO2; Oil production; 탄소 포집 및 저장; 이산화탄소 회수증진법; 인위기원 이산화탄소; 오일 생산
Citation
한국자원공학회지, v.49, no.5, pp.700 - 707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자원공학회지
Volume
49
Number
5
Start Page
700
End Page
707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64496
ISSN
2288-0291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산업 배출원에서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오일 회수증진법의 현황, 잠재력, 한계성에 대해 요약하였다. 전통적으로 CO2 EOR은 오일회수에 초점이 맞추어 졌지만, 최근에는 CO2의 효율적인 지중저장 수단이 되고 있다. CO2 EOR에 사용되는 CO2의 97%는 주입 종료 후 지중에 저장된다. 현재 인위기원 CO2의 공급 비중이 꾸준히 증가하여 연간 1,200만 톤에 이르고 있다. CO2 EOR이 탄소 포집 및 저장에 미치는 가장 큰 영향은 오일을 추가 생산함에 따라 CCS 적용에 따른 비용을 상쇄시킬 수 있는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는 점이다. CO2 EOR을 적용하는 생산현장이 증가함에 따라 필요한 CO2 공급이 부족하여 산업 배출원에 의한 CO2 공급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EOR과 연계된 CO2 지중 저장은 CCS와 관련된 비용을 근본적으로 상쇄할 수 있기 때문에 CCS에 별도의 인센티브가 주어지지 않더라도 촉진될 수 있을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공과대학 > 서울 자원환경공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Kun Sang photo

Lee, Kun Sang
COLLEGE OF ENGINEERING (DEPARTMENT OF EARTH RESOURCES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