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자동차산업에서의 신규부품 양산이관후 위험관리를 위한 평가지표의 개발

Authors
정인재오일영
Issue Date
May-2011
Publisher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Citation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2011, no. , pp.19 - 32
Indexed
OTHER
Journal Title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ume
2011
Start Page
19
End Page
3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68431
Abstract
자동차 산업에서는 신규 부품(신제품)을 개발할 때 사전 제품 품질 기획(APQP)이라는 기법이 일반 산업의 프로젝트 관리방법의 하나로서 적용되어 개발에서의 문제점을 사전에 제거하고, 양산에 문제점을 최소화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개발에서의 문제점이 완전히 해결되지 않으면 양산에서 개발의 문제로 인한 양산 진행에 어려움으로 인해 해당기업의 생산 차질 및 자동차 모체사의 차량 생산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효과적인 신규 부품 양산이관을 위한 최적의 의사결정의 체계적인 평가기준의 정립은 매우 중요하다. 자동차 산업에서의 신규 부품에 대한 개발이 완료된 후 개발동안의 문제점이 완전히 해결되고 양산에 임하는 경우와 일부 문제점이 상존하는 경우의 차이는 기업의 생산 진행 및 이로 인한 자동차 모체사의 차량생산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신규 부품의 양산이관 기준은 매우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신규부품에 대한 양산이관 기준은 고객사 요구사항 충족 및 업체별 업무 관련자의 경험적 판단과 의사결정에 의해 이루어져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이며, 과학적인 신규부품에 대한 양산이관을 위한 평가항목을 설정하기 위해 기존의 방법과 절차에 의존하기 않고 자동차 산업의 설계 및 개발프로세스{사전 제품 품질 기획(APQP)}에 대한 심사경험이 풍부하고, 자동차 산업의 근무경력이 풍부한 전문가 집단을 엄선한 후 2차례에 걸쳐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객관적인 평가지표를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평가지표를 자동차 산업에 종사하는 해당 기업의 설계 및 개발프로세스 양산이관 평가 담당자들에게 유효성 파악 설문지를 적용하여 효과성을 파악하고 개발하였으며, 이는 자동차 산업의 신규 부품 양산이관 기준으로 업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규 부품 양산 이관의 효과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된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공과대학 > 서울 산업공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Jeong, In Jae photo

Jeong, In Jae
COLLEGE OF ENGINEERING (DEPARTMENT OF INDUSTRIAL ENGINEERING)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