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남북 음악 전문용어 유형과 어종 분석―중⋅고등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Analysis of North-South Music Terminology Types and Species―Focusing on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Other Titles
Analysis of North-South Music Terminology Types and Species―Focusing on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Authors
김령령신중진
Issue Date
May-2022
Publisher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Keywords
Music terminology; Oriental music terminology; Western music terminology; North and South terminology; word type.; 음악 전문용어; 동양 음악 용어; 서양 음악 용어; 남북 전문용어; 어종.
Citation
민족문화연구, no.95, pp.403 - 433
Indexed
KCI
Journal Title
민족문화연구
Number
95
Start Page
403
End Page
433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70198
DOI
10.17948/kcs.2022..95.403
ISSN
1229-7925
Abstract
본고는 음악 교과 분야 남북 전문용어의 통합에 기여할 수 있는 언어학적 연구에 초점을 두고 남북 음악 전문용어를 대응쌍 형태의 동일 여부에 따라 나누고 서구 음악의 영향을 적게 받은 전통 음악으로서의 동양 음악 용어와 서양 음악 용어로 세분하여 유형별로 어종의 특징을 연구하였다. 남북 동형 전문용어는 즉시 통합이 가능한 용어, 어문규범 통합을 통해 자연스럽게 통합이 가능한 용어로 전체 음악 전문용어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동양 음악 용어는 정악이나 민속악과 관련된 용어가 대부분으로 정악은 한자어로 많이 나타나고 민속악은 고유어나 한자어로 많이 나타났으며 서양 음악 용어는 악기나 인명, 연주법과 관련된 용어가 외래어로 쓰이는 경우가 많고, 성악이나 기악 등 음악 이론과 관련된 기초적인 음악 이론 용어가 한자어로 쓰이는 경우가 많았다. 남북 이형 전문용어는 대부분이 서양 음악 용어로 확인된다. 대표적인 예로 남측의 조어 단위 ‘자진’과 북측의 ‘잦은’, ‘음표’와 ‘소리표’, ‘표’와 ‘기호’, ‘장⋅단’과 ‘대⋅소’의 대응 등을 살펴볼 수 있다. 이는 규칙을 이해하면 용어별로 암기를 하지 않아도 쉽게 예상하고 이해할 수 있는 용어들이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인문과학대학 > 서울 국어국문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hin, Jung Jin photo

Shin, Jung Jin
COLLEGE OF HUMANITIES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