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청주농악의 춤사위에 대한 연구A Study on Dance Styles of the Cheongju Farm Music

Other Titles
A Study on Dance Styles of the Cheongju Farm Music
Authors
김운미김윤지
Issue Date
Aug-2010
Publisher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Keywords
청주농악; 법구놀이; 춤사위; 양상모; 찍엄상; 벌림법구; 좌우치기; Cheongju farm music; Beobgunori; dance styles; Yangsangmo; Jickeumsang; Beolimbeobgu; Jwawoochigi
Citation
우리춤과 과학기술, v.6, no.2, pp.61 - 88
Indexed
KCI
OTHER
Journal Title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ume
6
Number
2
Start Page
61
End Page
8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74234
ISSN
1738-9178
Abstract
본고에서는 충북 문화재 제1호인 청주농악의 춤사위에 내재된 여러 가지 특성을 무용학적 관점에서 탐색하여 그 전승양상과 춤사위를 연구하고자 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주농악의 춤장단인 ‘굿거리장단’의 소실 원인은 구음(口音)전달로 인한 보존의 어려움과 공연 무대화로 인한 ‘굿거리장단’의 생략 등을 들 수 있다. 둘째, ‘법구놀이’ 춤은 단순하지만 차분하게 규칙적으로 행하면서 청주농악 고유의차별성과 독자성을 지녔다. 또한 타 지역과 두드러진 차이는 없었지만 모든 진법과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춤사위에 충북의 지리적, 역사적 문화적 배경요소들이 존재하고있었다. 셋째, 청주농악의 ‘법구놀이’에서 다양한 춤사위가 있었다. 현장에서의 보존회 및전수조교들에서 통용되는 춤사위는 ‘까치걸음’, ‘찍엄상’, ‘양상모’, ‘칠채법구’, ‘벌림법구’, ‘좌우치기’가 있다. 그 중 ‘까치걸음’과 ‘벌림법구’는 이들만의 통용어로 쓰이고 있으며, 찍엄상은 꼭두상모와 앞뒤로 젖힌 사위로도 명명되고 있다. 또한 보존회에서는 주요 춤사위로 명명되지 않았지만 선행연구들에서도 제시되었던 ‘옆걸음치기’, ‘맺는상’, ‘얼러벌러치기’, ‘앉은사위’ 있었다. 그 밖에 이러한 춤사위를바탕으로 실행형태를 명명해 보면 ‘사선 벌림법구’, ‘가슴 앞 상․하 모음법구’, ‘제자리에서 사선으로 양손 벌리기’, ‘찍엄상 하면서 양팔 벌려 뒤로 물러서기’ 등이 있다. 그러나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행해진다는 ‘나비상’과 ‘연풍대’, 그리고 ‘가래들고 앉은상’,‘자반뛰기’ 같은 역동적인 춤사위는 찾아볼 수 없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예술·체육대학 > 서울 무용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Un Mi photo

Kim, Un Mi
서울 예술·체육대학 (서울 무용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