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전통회화 재료로서 견(絹)의 특성과 교육적 활용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선영-
dc.contributor.author김선아-
dc.contributor.author이주원-
dc.date.accessioned2022-12-20T16:02:49Z-
dc.date.available2022-12-20T16:02:49Z-
dc.date.created2022-09-19-
dc.date.issued2010-08-
dc.identifier.issn1225-4177-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74241-
dc.description.abstract재료의 물질적인 성질은 조형예술만을 통하여 경험할 수 있는 직접적이고 감각적인 특성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미술교육에서 재료에 대한 연구와 활용은 학습자의 미적 경험을 풍부하게 할 수 있는 기초가 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한 논의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전통회화의 실기와 감상 교육은 개념적이고 형식적인 측면에 집중되어 있어 단순화되고 제한된 방식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통회화에서 바탕재가 갖는 의미에 주목하여 한지로 국한되어 있는 고정관념을 확장하고자 견의 의미와 특성 그리고 교육적 활용 방안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미술 표현을 위한 견의 속성이 물질적인 성격을 넘어서 전통회화의 정신성과 시대적인 맥락과 연관성을 가지고 있음을 고찰함으로써 전통 재료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고려 불화와 조선시대 회화작품에 견이 사용된 방식은 채색의 투명성을 살려 은은히 감추어 제시하는 담(淡)채의 미학을 반영하고 있다. 또한 견이 가지는 고귀함, 우아함, 깊이는 나타내고자 하는 대상에 가치를 부여하는 하나의 방식으로서의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특히 조선시대의 초상화는 세밀한 표현을 통해 인물의 재현을 넘어선 전신사조를 추구하였으며, 견이라는 직물의 특성은 이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이 되었다. 이와 같은 견의 특성과 가치를 토대로 현대에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방법과 기대할 수 있는 효과를 논의함으로써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교육 현장에서 견과 같은 다양한 전통회화 재료를 학습자들이 직접 경험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전통 미술을 보다 가깝게 인식하도록 하는 방안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적으로 견을 학생들에게 쉽게 제시할 수 있는 방안과 함께 이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수업방안까지를 소개하였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
dc.publisher한국조형교육학회-
dc.title전통회화 재료로서 견(絹)의 특성과 교육적 활용-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Materials for the Implications for Traditional Art Education: A Study on the Silk as the Traditional Materials-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선아-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조형교육, no.37, pp.31 - 49-
dc.relation.isPartOf조형교육-
dc.citation.title조형교육-
dc.citation.number37-
dc.citation.startPage31-
dc.citation.endPage49-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1468233-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전통회화-
dc.subject.keywordAuthor바탕재-
dc.subject.keywordAuthor-
dc.subject.keywordAuthor투명성-
dc.subject.keywordAuthor정교성-
dc.subject.keywordAuthortraditiontal painting-
dc.subject.keywordAuthorsupport material-
dc.subject.keywordAuthorsilk-
dc.subject.keywordAuthortransparency-
dc.subject.keywordAuthorprecision-
dc.subject.keywordAuthortraditiontal painting-
dc.subject.keywordAuthorsupport material-
dc.subject.keywordAuthorsilk-
dc.subject.keywordAuthortransparency-
dc.subject.keywordAuthorprecisio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사범대학 > 서울 응용미술교육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Sun ah photo

Kim, Sun ah
COLLEGE OF EDUCATION (DEPARTMENT OF APPLIED ART EDUC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