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프로세싱 언어와 얼굴 검출 기능을 이용한 미디어 아트 차원의 전자방명록 구현Implementation of An Electronic Guest Book As Media Arts Using Processing Language and Face Detection Function

Other Titles
Implementation of An Electronic Guest Book As Media Arts Using Processing Language and Face Detection Function
Authors
곽재호이승아김회율
Issue Date
Jul-2010
Publisher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Keywords
Interactive Media Art. Electronic Guest Book; Processing; Face Detection
Citation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10, no.3, pp.259 - 266
Indexed
KCI
Journal Title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ume
10
Number
3
Start Page
259
End Page
26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74411
DOI
10.17280/jdd.2010.10.3.026
ISSN
1598-2319
Abstract
21세기 디지털 미디어로서 컴퓨터와 인터넷은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을 마련했고,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전자방명록은 그 이전 문자시대의 기록 문화의 대안적 역할, 혹은 디지털 데이터로서의 기록이라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미디어 기술과 콘텐츠를 접목하고, 전자방명록의 형식을 차용한 미디어 아트 작품-Face Ball-의 제작과정을 분석하였다. 아티스트와 공학도의 협업을 통한 작업 콘텐츠 제작 및 기술적 구현과정을 통해, 초기의 전자방명록의 형태가 단순하게 디지털 이미지나 개인정보와 관련한 데이터 기록을 목적으로 한 것이었다면, Face Ball은 얼굴 검출 기능을 이용하여 관람객의 얼굴을 검출하고 이를 저장함으로써 전자방명록으로써의 기능에 충실함과 동시에 컴퓨터 비전 기술과 그래픽 기술을 활용한 보다 시각적인 요소를 가미하여 미디어 아트 작품 차원의 레벨로 구현되었다. 뿐만 아니라 검출된 관람객의 얼굴 이미지를 활용한 게임적인 요소를 더함으로써 관람객의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시키고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였다. 본 작품이 전시되었던 서울시 한빛 미디어 갤러리에서 한 달의 전시기간을 통해 관람객의 다양한 인터랙션 방법과 과정들을 관찰 및 기록할 수 있었으며, 그 이후 작품과 관람객 간의 상호간 인터페이스 디자인과 기능적 접근에 대한 연구를 지속 중에 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공과대학 > 서울 융합전자공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