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비만 환자에서의 비만도와 혈중 Obestatin과의 관련성Relationship between Circulating Obestatin levels and Obesity Index in Obese Patients

Other Titles
Relationship between Circulating Obestatin levels and Obesity Index in Obese Patients
Authors
강준구이창범박희순박철영
Issue Date
Mar-2009
Publisher
대한비만학회
Keywords
비만; obestatin; 인슐린 저항성; obesity; obestatin; insulin resistance
Citation
Journal of Obesity & Metabolic Syndrome, v.18, no.1, pp.8 - 14
Indexed
KCI
OTHER
Journal Title
Journal of Obesity & Metabolic Syndrome
Volume
18
Number
1
Start Page
8
End Page
1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77061
ISSN
2508-6235
Abstract
연구 배경: Obestatin은 ghrelin과 같은 유전자에서 분비되어 음식섭취의 감소와 위배출 시간의 지연 그리고 장시간 지속적으로 투여시 체중의 감소가 발생한다. 당부하검사 전후로 obestatin을 측정하여 비만 및 대사지표들과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6년 1월부터 8월까지 일개 대학병원 내분비-대사 내과에 비만치료를 위해 방문한 환자 13명과 정상 대조 군 12명을 대상으로 신장, 체중, 허리둘레를 포함한 신체계측, 혈압, 혈청 지질 및 공복혈당과 인슐린, c-peptide를 측정하였다. 75g 경구 당부하검사를 시행하였고 obestatin을 측정하였다. 결과: 평균 obestatin 농도는 정상 체중 군에 비해 비만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성별에 따른 혈청 obestatin 농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경구당부하검사를 하여 비만 군과 정상 체중 군을 비교해본 결과 공복과 당부하 2시간 후 obestatin 농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공복 혈청 obestatin 농도는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공복인슐린농도, 공복 c-peptide 및 HOMA-IR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총 콜레스테롤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중 체질량지수는 성별, 나이 및 의미있는 지표들을 독립변수로 한 회기분석에서 공복 obestatin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변수였다. 결론: 정상 체중 군에 비해 비만 군에서 obestatin이 낮게 측정되었고, 체질량지수는 obestatin농도를 설명할 수 있는 가장 의미 있는 지표였다. 그러므로 혈청 obestatin은 체중의 변화와 부분적인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의과대학 > 서울 내과학교실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Chang Beom photo

Lee, Chang Beom
COLLEGE OF MEDICIN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