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졸재 유원지의 심성론과 퇴계학설 옹호Yu Won-Ji`s Philosophical Theory and His Vindication of Toegye`s Learning

Other Titles
Yu Won-Ji`s Philosophical Theory and His Vindication of Toegye`s Learning
Authors
김용헌
Issue Date
Dec-2008
Publisher
동양고전학회
Keywords
유원지; 퇴계학파; 이황; 이이; 장현광; 이구; Yu Won-Ji; the School of Toegye; Yi Hwang(Toegye); Yi I(Yulgok); Jang Hyeon-Gwang(Yeohyeon)
Citation
동양고전연구, no.33, pp.305 - 334
Indexed
KCI
Journal Title
동양고전연구
Number
33
Start Page
305
End Page
33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77490
ISSN
1226-7910
Abstract
유원지는 이황의 사단칠정설이 적확하고 올바른 견해로서 전대의 성인들이 전한 핵심을 얻었으며 주희의 설과 합치된다고 확신하였다. 심지어 이황의 리기호발설이 “이전의 성인에게 질의해도 의심이 없고 백세 동안 성인을 기다려도 의혹이 없다”라고까지 하였다. 동시에 그는 그 시대의 학문 경향에 대해 이이가 이황의 학설을 비판하고 성혼이 이이를 따름으로써 이설이 만연하게 되었고, 결과적으로 유가의 도에 누가 됨이 이미 극에 달했다고 보았다. 그래서 그가 내린 결론은 수수방관해서는 안 되고 잘못을 바로잡을 방도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었다. 폭넓게 말하자면 유교의 도를 구하고, 작게는 이황의 학설을 지키는 것이 그의 철학적 문제의식이라고 할 수 있다. 유원지는 이이의 학설을 여러 측면에서 비판하였다. 그 비판들의 주된 초점은 이황의 리기호발설에 대한 이이의 비판을 재비판하는 것이었다. 이를테면 사단을 칠정의 일부로 보는 견해에 대해서는 “반드시 기를 리로 인식하는 데 이르게 되고, 머지않아 인욕을 천리로 간주하는 폐단에 빠지게 된다”고 경고하였다. 한 마디로 기를 리로 여기는 병폐가 있다는 것이 이이를 바라보는 유원지의 기본적인 시각이었다. 유원지는 장현광에 대해서도 이이에 대한 비판과 같은 맥락에서 비판하였다. 장현광의 학설이 이이와 다른 것 같지만 본질적으로 같다고 파악했기 때문이다. 유원지가 이이와 장현광의 학설을 비판했던 것은 곧 이황의 학문을 옹호하고, 나아가 퇴계학파의 학문적 정체성을 확보하려는 의식과 맞물려 있었다. 이런 측면에서 그의 이론적 활동은 똑같이 17세기 중반에 활동한 이구와 다르지 않다. 유원지는 이구와 더불어 이이의 학설, 나아가 장현광의 학설을 체계적으로 비판하면서 이황의 호발설을 수호하고자 노력한, 그리고 체계적인 비판의 글을 남긴 최초의 학자라고 평가할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인문과학대학 > 서울 철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Yong Hun photo

Kim, Yong Hun
COLLEGE OF HUMANITIES (DEPARTMENT OF PHILOSOPHY)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