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교수몰입의 매개효과The Mediating Effect of Teaching Flow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Self-Esteem and Happiness

Other Titles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ing Flow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Self-Esteem and Happiness
Authors
문다슬김현수
Issue Date
Dec-2022
Publisher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Keywords
childcare teacher; self-esteem; happiness; teaching flow; mediating effect; 보육교사; 자아존중감; 행복감; 교수몰입; 매개효과
Citati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22, no.23, pp.559 - 570
Indexed
KCI
Journal Title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ume
22
Number
23
Start Page
559
End Page
57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82274
DOI
10.22251/jlcci.2022.22.23.559
ISSN
1598-2106
Abstract
목적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과 교수몰입, 행복감의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과행복감의 관계에서 교수몰입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방법 서울 및 경기 지역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한 조사연구로 자아존중감, 교수몰입, 행복감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2022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고 설문지 227부를 SPSS 25.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으며 자료분석 방법은Pearson의 상관분석과 Baron과 Kenny의 매개효과 분석, 그리고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 행복감, 교수몰입은 전반적으로 중간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모든 변인들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의 설명력에서 교수몰입을 추가하였을 때 더 높은 설명력을 가지면서 교수몰입은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보육교사의 행복감을 높이기 위한 자아존중감과 교수몰입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행복감을 증진하기 위하여예비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과 교수몰입 경험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교육대학원 > 서울 교육대학원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Hyun Soo photo

Kim, Hyun Soo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