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중국 강소성 서주(徐州) 북동산(北洞山) 초왕(楚王) 한묘(漢墓)의 건축형식과 상징성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Architectural Form and Symbolism of the Tomb of King Chu of Beidong Mountain, Xuzhou, Jiangsu Province, China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Form and Symbolism of the Tomb of King Chu of Beidong Mountain, Xuzhou, Jiangsu Province, China
Authors
무천기한동수
Issue Date
Dec-2022
Publisher
한국건축역사학회
Keywords
북동산 초왕 한묘; 애동묘; 건축 형태; 장례 관념과 배경; Tomb of King Chu of Beidong Mountain; Tomb of Cliff Cave; architectural form; Funeral Concepts and Background
Citation
건축역사연구, v.31, no.6, pp.33 - 46
Indexed
KCI
Journal Title
건축역사연구
Volume
31
Number
6
Start Page
33
End Page
4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85547
DOI
10.7738/JAH.2022.31.6.033
ISSN
1598-1142
Abstract
중국 고대 고분 내 묘실 공간의 발전 과정을 살펴보면 하(夏), 상(商), 주(周) 왕조부터 기본적으로 수혈식 목관묘가 유행하였고 춘추전국 시대에 이르러 고대(高台) 건축이 성행하면서 제사 건축 중의 하나인 능묘 건축도 이에 따라 높고 큰 봉분을 축조하는 것이 유행하였다. 그리고 서한(西汉) 시대에 이르게 되면 고분의 묘실 축조에 큰 변화가 생겨났는데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현상은 봉건 군주급 고분의 묘실 공간의 형식이 대부분 수직 구조에서 수평 구조로 전환되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중국 고대 고분은 당시 사회에서 유행했던 삶과 죽음의 개념 및 상장의례(喪葬儀禮)와도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묘실은 죽은 사람이 생활하고 거주하는 곳이기 때문에 묘실 공간은 죽은 사람의 신분과 부합되며 일반적으로 생전에 자신이 살았던 지상 건축의 구조와 규모를 모방한다. 따라서 우리는 한대 고분의 묘실 공간을 통해서 당시 사람들의 기본적인 “거주공간의 형식”을 어느 정도 엿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서주박물관(徐州博物馆)에서 1988년 간행한 『서주 북동산 서한묘 발굴 간보(徐州北洞山西汉墓发掘简报)』(이하 간보로 표기함) 및 2003년 출판된 『서주 북동산 서한 초왕묘(徐州北洞山西汉楚王墓)』의 내용을 기반으로 북동산 한묘의 묘실 구조 및 출토 유물과 함께 당시의 상장의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 시기 회해(淮海) 지역에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는 건축 공간의 구성을 복원해 보고 그 속에 내재된 상징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주요한 분석 대상인 북동산 한묘(北洞山汉墓)는 현재 고고학적으로 발굴된 한묘 가운데 구조가 비교적 복잡할 뿐만 아니라 축조방식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다수의 출토유물을 통해 묘실 내 각 공간의 기능을 어느 정도 유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고분이라고 할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공과대학 > 서울 건축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Han, Dong soo photo

Han, Dong soo
COLLEGE OF ENGINEERING (SCHOOL OF ARCHITEC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