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참여적 학교풍토와 교사 직무만족 관계에서 집단적 교사 혁신성의 매개 역할: 학교 및 교사 개인 수준에서 다층구조관계모형 분석open accessThe Mediating Role of Collective Teacher Innovativeness Between Participatory School Climate and Teacher Job Satisfaction: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Other Titles
The Mediating Role of Collective Teacher Innovativeness Between Participatory School Climate and Teacher Job Satisfaction: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Authors
박주호장유빈형찬주이인혁
Issue Date
Apr-2023
Publisher
한국교육개발원
Keywords
집단적 교사 혁신성; 참여적 학교풍토; 교사 직무만족; 다층구조방정식; Collective Teacher Innovativeness; Participatory School Climate; Teacher Job Satisfaction;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itation
한국교육, v.50, no.1, pp.5 - 30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교육
Volume
50
Number
1
Start Page
5
End Page
3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86289
DOI
10.22804/jke.2023.50.1.001
ISSN
1599-2659
Abstract
교사들의 혁신성은 학교혁신을 이끄는 핵심 요인으로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나, 이제까지는 개별 교사 차원에서만 주로 다루어져 학교수준에서 분석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참여적 학교풍토와 교사 직무만족 관계에서 집단적 교사 혁신성의 매개적 역할을 교사 및 학교수준에서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2018 OECD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에 참여한 우리나라 345개 초중학교의 소속 교사 6,138명이다. 본 연구에서 집단적 교사 혁신성의 매개적 구조관계는 다층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초중학교 교사들의 개인 인식 차원에서 집단적 교사 혁신성은 참여적 학교풍토와 교사 직무만족의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 효과를 보여주었다. 반면에 학교 수준에서는 집단적 교사 혁신성이 완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초중학교 교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 교사들의 혁신성 향상이 교사 개인은 물론이고 학교조직 차원에서도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아울러, 본 연구 결과는 단위학교에서 교사들의 혁신성 향상을 위한 선행조건으로써 참여적 학교풍토 조성이 제도적 및 행정적 차원에서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사범대학 > 서울 교육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ark, Joo Ho photo

Park, Joo Ho
COLLEGE OF EDUCATION (DEPARTMENT OF EDUC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