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가치 연구와 이중과정이론(Dual-Process Theory) : 암묵적 인지 측정 방법의 적용Research on Values and Dual-Process Theory : Application of Implicit Cognitive Measures

Other Titles
Research on Values and Dual-Process Theory : Application of Implicit Cognitive Measures
Authors
김지혜김상학
Issue Date
Sep-2022
Publisher
한국사회학회
Keywords
values; culture and cognition; dual-process theory; Affect Misattribution Procedure (AMP); 가치; 문화와 인지; 이중과정이론(Dual-Process Theory); 정서 오귀인 절차(Affect Misattribution Procedure)
Citation
한국사회학, v.56, no.3, pp.1 - 44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사회학
Volume
56
Number
3
Start Page
1
End Page
4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86390
DOI
10.21562/kjs.2022.08.56.3.1
ISSN
1225-0120
Abstract
본 논문은 20세기 중반 이후 전개된 가치 연구의 쇠퇴와 재건 과정을 정리하고, 최근 문화와 인지 사회학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이중과정이론(Dual-Process Theory) 및 이를 반영한 새로운 연구 방법을 가치 연구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소개한다. 암묵적 인지(system 1, fast thinking)를 명시적 인지(system 2, slow thinking)와 구분하는 이중과정이론에 따르면, 가치가 행위의 원인으로 상정되기 어렵다는 주장은 문화와 행위 사이의 관계를 논리적이고 규칙적인 명시적 인지 과정만으로 한정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가치 연구의 확장을 위해서는 암묵적 인지 과정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문제의식 아래, 본 논문에서는 약 60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암묵적, 자동적 인지를 활성화하는 정서 오귀인 절차(Affect Misattribution Procedure)를 활용해 슈워츠(Schwartz)의 가치 항목을 측정하였고, 이를 전통적인 설문조사로 측정된 가치와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설문조사 결과와 암묵적 인지 기반의 가치 측정 결과 사이에 부분적인 공통점과 차이점이 확인되었다. 또한, 삶의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한 분석에서 암묵적 인지 기반의 가치만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사회과학대학 > 서울 사회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Sang hag photo

Kim, Sang hag
COLLEGE OF SOCIAL SCIENCES (DEPARTMENT OF SOCIOLOGY)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