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공간연관성 지표를 이용한 낙동강 유역의 가뭄 핫스팟 지역 분석Analysis of Drought Hotspot Areas Using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 in the Nakdong River Basin

Other Titles
Analysis of Drought Hotspot Areas Using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 in the Nakdong River Basin
Authors
손호준변성호박경운김지은김태웅
Issue Date
Mar-2023
Publisher
대한토목학회
Keywords
Climate change scenario; Drought hot spot; Modified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atial association indicator; 기후변화 시나리오; 가뭄 핫스팟; 수정표준강수지수; 공간연관성지표
Citation
대한토목학회논문집(국문), v.43, no.2, pp.175 - 185
Indexed
KCI
Journal Title
대한토목학회논문집(국문)
Volume
43
Number
2
Start Page
175
End Page
18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88174
DOI
10.12652/Ksce.2023.43.2.0175
ISSN
1015-6348
Abstract
기후변화로 인해 가뭄의 위험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가뭄의 피해 최소화를 위한 가뭄 대응 연구가 진행 중이다. 특히, 최근에는 가뭄의 지역적 패턴을 복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여전히 대하천 유역에서 가뭄 위험지역을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표준강수지수(SPI)와 수정표준강수지수(M_SPI)를 산정하고, RCP4.5 및 RCP8.5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대한 공간자기상관분석을 수행하여 가뭄 핫스팟 지역을 분석했다. SPI는 연구 지역 내의 분석단위별로 매개변수를 추정하여 지수를 산정하지만, M_SPI는 연구 지역 전체에 대한 매개변수를 추정하여 지수를 산정하기 때문에, 대상 지역 내의 전체적인 관점에서 기상학적 가뭄 판단에 더 합리적이다. 연구 결과, M_SPI를 사용했을 경우, 장기가뭄이 단기가뭄보다 명확히 큰 가뭄 핫스팟 지역을 나타냈다. 또한 가뭄 핫스팟 지역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낙동강 유역의 중심에서 섬진강 유역의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RCP 4.5 시나리오는 단기/장기 가뭄의 이동패턴이, RCP 8.5 시나리오에서는 장기가뭄의 이동패턴이 뚜렷하였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