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K-Pop 팬덤 콘텐츠의 유형 연구- 유튜브 플랫폼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ypology of K-Pop Fandom Contents - Focusing on the YouTube Platform -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ypology of K-Pop Fandom Contents - Focusing on the YouTube Platform -
Authors
오윤지김치호
Issue Date
Dec-2022
Publisher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Keywords
K-Pop 팬덤; K-Pop 팬덤 콘텐츠; 향유자 중심 콘텐츠; K-Pop 팬덤 콘텐츠 유형; 유튜브 플랫폼; K-Pop Fandom; K-Pop Fandom Contents; User Centered Contents; K-Pop Fandom Contents Categorization; YouTube Platform
Citation
문화콘텐츠연구, no.26, pp.211 - 248
Indexed
KCI
Journal Title
문화콘텐츠연구
Number
26
Start Page
211
End Page
24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88301
DOI
10.34227/tjocc.2022..26.211
ISSN
2287-2256
Abstract
본 연구는 유튜브 속 K-Pop 팬덤 콘텐츠의 유형화를 시도함으로써 팬덤의 향유활동의 지형을 구조적으로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현재 유튜브에서 활성화된 팬덤 콘텐츠는 상위구조에서 파생되는 하향식 콘텐츠와 팬덤이 생성한 상향식 콘텐츠가 모두 존재하나, 상향식 콘텐츠가 주를 이루며 역동적이고 주체적인 팬덤 향유활동의 모습을 나타낸다. 이런 현상 속에서 본 연구는 팬덤의 생산적 양상에 주목하였으며 팬덤 콘텐츠를 체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기준을 모색하였다. 귀납적 원리를 이용하여 K-Pop 팬덤 콘텐츠 130개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팬덤 콘텐츠의 ‘생성 구조 형식’과 ‘생성 요소’를 기준으로 텍스트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팬덤 콘텐츠는 1차 콘텐츠를 기반으로 변형된 ‘1차 콘텐츠 기반 생성’의 형태와 팬덤이 새롭게 구성하여 만든 ‘새로운 콘텐츠 생성’의 형태가 구조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팬덤 콘텐츠의 생성 요소는 ‘지식적 정보’와 ‘감각적 정보’라는 두 가지 특징이 도출되었다. 결과적으로 ➀1차 콘텐츠 기반 생성-지식적 정보 ➁1차 콘텐츠 기반생성-감각적 정보 ➂새로운 콘텐츠 생성-지식적 정보 ➃새로운 콘텐츠 생성-감각적정보로 분류되었으며, 이를 팬덤 콘텐츠 사례를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유튜브K-Pop 팬덤 콘텐츠의 지형을 체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는 것에 의의를 지닌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