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무장 반군의 권위주의 체제 수립과 정권 안정성Autocratic Regime Formation by Armed Rebels and Subsequent Regime Stability

Other Titles
Autocratic Regime Formation by Armed Rebels and Subsequent Regime Stability
Authors
송원준
Issue Date
Apr-2021
Publisher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Keywords
권위주의 체제; 민군관계; 쿠데타; 숙청; 체제 수립 autocratic regimes; civil-military relations; coups; purges; regime formation
Citation
평화연구, v.29, no.1, pp.211 - 244
Indexed
KCI
Journal Title
평화연구
Volume
29
Number
1
Start Page
211
End Page
24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90604
DOI
10.21051/PS.2021.04.29.1.211
ISSN
1229-4543
Abstract
본 논문은 권위주의 체제의 수립 방식이 차후 정권의 안정성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많은 연구가 각 나라의 체제나 특성 요인이 안정성을 얼마나 설명하는지 보기 위해 쿠데타나 군부 숙청 여부를 관련시켰다. 정권의 형성 이후 요인에 중점을 둔 기존의 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정권 형성 과정 또한 이후의 안정성에 영향을 주리라는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구체적으로 무장 반군에 의한 정권 수립의 경우 그렇지 않은 정권에 비해 더 안정적인 민군관계를 누린다는 가설을 검증해보려 했다. 이를 위하여 1946년부터 2010년까지 280개 권위주의 체제의 수립 방식과 군사 쿠데타 및 군부 숙청이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분석하였다. 양적 분석의 결과, 무장 반군을 통한 권위주의 체제 수립은 차후 군사 쿠데타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는 체제전복을 목적으로 지닌 쿠데타 시도(regime change coup)의 감소에 따른 것으로 지도자 교체만을 목적으로 한 쿠데타 시도(leader shuffle coup)의 증감에는 영향을끼치지 못하였다. 반면 군부 숙청에 관해서는 수립 방식에 따른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사회과학대학 > 서울 정치외교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ong, Wonjun photo

Song, Wonjun
COLLEGE OF SOCIAL SCIENCES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STUDIES)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