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베이지안 비선형 모형에 기반한 자가율 분석Home-Ownership Rate Analysis Based on Bayesian Nonlinear Model

Other Titles
Home-Ownership Rate Analysis Based on Bayesian Nonlinear Model
Authors
조성은원혜진이창무
Issue Date
Sep-2023
Publisher
한국부동산연구원
Keywords
APC Effects; Home-Ownership Rate; Bayesian Nonlinear Model; MCMC Sampling; APC 효과; 자가율; 베이지안 비선형 모형; MCMC 샘플링
Citation
부동산연구, v.33, no.3, pp.59 - 79
Indexed
KCI
Journal Title
부동산연구
Volume
33
Number
3
Start Page
59
End Page
7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91775
ISSN
2092-5395
Abstract
APC 분석은 생애주기, 고령화, 장기 추세 연구에 적합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그중 코호트 효과는 새로운 세대의 유입으로서 사회현상을 설명하기에, 국내 주택시장에서는 생애주기에 따라 연령 효과를 갖는 자가율 패턴을 코호트 효과와 기간 효과로 나누어 분석하고 있다. 본 연구는 베이지안 비선형 모형을 도입하여 APC 분석을 기반으로 베이비붐 세대의 자가율을 추정하였다. 먼저, APC 선형관계로 인한 APC 각 효과의 혼재된 정도와 기존 선행연구의 결과를 재확인하기 위해 재정패널, 노동패널, 주거실태조사 3가지 자료를 사용하여 결과의 강건성을 높이고, 일부 모형에서 연령 더미를 모두 포함하여 각 효과를 추가하였을 때, 자가율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APC의 각 효과를 분리하기 위해 동일 표본이 지속 유지되는 재정패널과 노동패널을 대상으로 비선형 모형을 도입하였다. 그 결과, 기존 선형 분석과 달리, 베이비붐 세대와 직전 세대의 자가율 차이가 확대되는 결과를 통해 베이지안 비선형 모형의 APC 식별 문제 개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베이비붐 세대가 이전 세대와는 다른 주거소비 모습을 보이고 있기에 그들이 고령층의 상당 부분을 차지함에 따라 이전과는 다른 주거안정에 대한 함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동안 식별 문제로 활용도가 낮았던 APC 분석을 베이지안 비선형 모형으로 개선하여 세대간 주거선호체계 차이를 분석하고 제고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공과대학 > 서울 도시공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Chang Moo photo

Lee, Chang Moo
COLLEGE OF ENGINEERING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