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이진 분류문제에서의 딥러닝 알고리즘의 활용 가능성 평가Feasibility of Deep Learning Algorithms for Binary Classification Problems

Other Titles
Feasibility of Deep Learning Algorithms for Binary Classification Problems
Authors
김기태이보미김종우
Issue Date
Mar-2017
Publisher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Keywords
Binary Classification; Deep Learning; Multi-Layer Perceptr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Long Short-Term Memory; 이진분류; 딥러닝; 다층 퍼셉트론; 합성곱 신경망; 장단기 기억
Citation
지능정보연구, v.23, no.1, pp.95 - 108
Indexed
KCI
Journal Title
지능정보연구
Volume
23
Number
1
Start Page
95
End Page
10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20500
DOI
10.13088/jiis.2017.23.1.095
ISSN
2288-4866
Abstract
최근 알파고의 등장으로 딥러닝 기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딥러닝은 향후 미래의 핵심 기술이 되어일상생활의 많은 부분을 개선할 것이라는 기대를 받고 있지만, 주요한 성과들이 이미지 인식과 자연어처리 등에 국한되어 있고 전통적인 비즈니스 애널리틱스 문제에의 활용은 미비한 실정이다. 실제로 딥러닝 기술은Convolutional Neural Network(CNN), Recurrent Neural Network(RNN), Deep Boltzmann Machine (DBM) 등 알고리즘들의 선택, Dropout 기법의 활용여부, 활성 함수의 선정 등 다양한 네트워크 설계 이슈들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비즈니스 문제에서의 딥러닝 알고리즘 활용은 아직 탐구가 필요한 영역으로 남아있으며, 특히 딥러닝을현실에 적용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들은 미지수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이렉트 마케팅 응답모델, 고객이탈분석, 대출 위험 분석 등의 주요한 분류 문제인 이진분류에 딥러닝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인지 그 가능성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실험에는 어느 포르투갈은행의 텔레마케팅 응답여부에 대한 데이터 집합을 사용하였으며, 전통적인 인공신경망인 Multi-Layer Perceptron, 딥러닝 알고리즘인 CNN과 RNN을 변형한 Long Short-Term Memory, 딥러닝 모형에 많이 활용되는Dropout 기법 등을 이진 분류 문제에 활용했을 때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실험을 수행한 결과 CNN 알고리즘은 비즈니스 데이터의 이진분류 문제에서도 MLP 모형에 비해 향상된 성능을 보였다. 또한 MLP와 CNN 모두 Dropout을 적용한 모형이 적용하지 않은 모형보다 더 좋은 분류 성능을보여줌에 따라, Dropout을 적용한 CNN 알고리즘이 이진분류 문제에도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경영대학 > 서울 경영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Jong Woo photo

Kim, Jong Woo
SCHOOL OF BUSINESS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