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관광자원론의 정체성과 지향점Identity and Direction of Tourism Resource Theories as a Sub Field of Tourism Sciences in Korea

Other Titles
Identity and Direction of Tourism Resource Theories as a Sub Field of Tourism Sciences in Korea
Authors
김남조
Issue Date
Oct-2020
Publisher
한국관광학회
Keywords
관광자원론; 관광지리학; 학문 정체성; 자원계획; 자원관리; Tourism resource theory; Tourism geography; Academic identity; Resource planning; Resource management
Citation
관광학연구, v.44, no.7, pp.9 - 33
Indexed
KCI
Journal Title
관광학연구
Volume
44
Number
7
Start Page
9
End Page
33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7913
DOI
10.17086/JTS.2020.44.7.9.33
ISSN
1226-0533
Abstract
한국 학계에서는 관광자원론을 주요한 교과목으로 구성하여 강의하여 왔음에도 불구하고 그 이론과 방법론을 발전시키지 못했다. 이에, 이 연구는 문헌연구법으로 한국에서 출간된 관광자원론을 검토하였으며, 해외 주요대학에서의 관광자원론과 관련된 교과목과 관련문헌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관광자원에 대한 의미, 관광자원론의 변화, 관광자원론과 관광지리학 비교, 관광자원론의 연구방법, 관광자원론의 구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한국에서의 관광자원론은 관광학이 태동할 때 참여한 다수의 지리학전공자들의 영향을 받았다. 그 결과 관광자원론은 상당부분 관광지리학의 구성체계와 연구방법을 반영한 경향이 있다. 현재 한국의 많은 대학에서 관광자원론을 관광학의 중요 교과목으로 인정하고 교육하고 있다. 그러나 서구의 대학들은 관광자원관리의 측면에서 관광자원론과 관련된 내용을 다룰 뿐 한국과 동일한 내용으로 다루지는 않는다. 이 연구에서는 관광자원론이 하나의 관광학이론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사회과학적인 접근방법과 지리학의 학문적 체계를 적용하는 학제적 접근방법을 적극 수용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관광자원은 이용의 주체인 관광자와 지역주민의 효용을 위해 계획되고 개발되고 관리됨으로써 비로소 관광자원으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관광자원에 대한 평가는 관광자원에 대한 계획·개발·관리를 모니터링하는데 유용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에서는 관광자원론의 구성을 크게 ⅰ) 관광자원이론 ⅱ) 관광자원계획 ⅲ) 관광자원개발 ⅳ) 관광자원평가로 구분하여 그 체계를 정립하자고 제안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한국에서 관광자원론이 어떤 주제, 연구대상 및 범위, 연구방법으로 구성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통찰을 제공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관광자원론의 정체성과 방향성을 정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사회과학대학 > 서울 관광학부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Nam Jo photo

Kim, Nam Jo
COLLEGE OF SOCIAL SCIENCES (SCHOOL OF TOURISM)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