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수로부인>의 상징체계와 <헌화가> <해가>의 의미The Symbol System in Sooroo-Booin and The Meaning of Heonhwa-Ga and Hae-Ga

Other Titles
The Symbol System in Sooroo-Booin and The Meaning of Heonhwa-Ga and Hae-Ga
Authors
박일용
Issue Date
12-Feb-2015
Publisher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Citation
고전문학과 교육, v.31집, no.31집, pp.145 - 177
Journal Title
고전문학과 교육
Volume
31집
Number
31집
Start Page
145
End Page
177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0387
ISSN
1598-7108
Abstract
<수로부인>에 소개된 두 삽화에서 수로부인은 자신과 신물인 견우노옹 및 해룡(海龍) 사이를 신성적 관계로 인식한다. 반면, 신물인 견우노옹과 해룡(海龍)은 자신의 신성성을 해체하고 수로부인과의 세속적 관계를 원한다. 그런데 이러한 수로부인과 신물들의 태도는 그들의 관계를 수로부인이 ‘약탈되었다[被掠攬]’고 인식하는 순정공과 기술자의 태도에 억압되어 증상적 형태로 나타난다. 이는 <수로부인>에 소개된 삽화들이 부부 관계 및 지방 지배 질서에 대한 상징체계의 전환 과정을 보여주는 이야기들로서, 오랜 기간에 걸쳐 이루어진 상징체계의 전환 과정을 개별적 사건 형태로 표현된 것임을 뜻한다. <수로부인> 이야기는 신성적 상징체계에서 세속적 상징체계로의 전환 과정을 새롭게 정착된 관료 지배적 상징체계에 입각하여 소급적 형태로 기술한 역사적 상징물인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