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어 연결 어미의 의미 기술에 대하여On description of meaning of connective endings in Korean

Other Titles
On description of meaning of connective endings in Korean
Authors
이은경
Issue Date
Aug-2015
Publisher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Keywords
연결 어미; 접속; 의미 기술; 의미 관계; 비의존적 관계; 의존적 관계; connective ending; conjunction; description of meaning; semantic relation; independent relation; dependent relation
Citation
한국학연구, no.38, pp.333 - 359
Journal Title
한국학연구
Number
38
Start Page
333
End Page
35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0684
ISSN
1225-469X
Abstract
본고는 한국어 연결 어미의 의미를 기술하기 위한 원칙을 제시하고 연결 어미의 의미 체계를 설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에서 연결 어미의 의미를 기술할 때 고려할 점으로 제시한 것은 다음과 같다. 연결 어미는 선행절에 결합되어 있어 후행절에 대한 선행절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연결 어미의 의미는 종속적인 접속의 경우에는 선행절의 기능을 중심으로 기술하되, 대등적인 접속의 경우에는 선․후행절의 관계를 기술한다. 연결 어미의 의미를 기술하는 용어는 체계적인 기술을 고려하여 선택할 필요가 있다. 동일한 범주에 속하는 연결 어미는 공통된 용어로 기술해야 하며, 연결 어미의 의미는 모호하지 않게 기술해야 한다. 용어의 언어적인 쓰임새를 고려하여 술어성을 갖고 있거나 관계를 기술하는 용어의 경우에는 논항구조를 반영하여 용어를 선택한다. 개별 연결 어미의 의미를 기술하는 것보다는 의미로부터 연결 어미에 이르는 과정을 고려한 용어를 선정하여 기술한다. 본고에서 설정한 연결 어미의 의미 체계는 다음과 같다. 사태와 사태 사이의 관계를 기술하는 연결 어미가 대부분이나 담화 기능을 수행하는 연결 어미도 있어서, 연결 어미를 크게 두 부류로 나눌 수 있다. 사태와 사태 사이의 관계를 기술하는 연결 어미는 선․후행절이 비의존적인 관계인지 의존적인 관계인지에 따라 두 부류로 나누었다. 비의존적인 관계는 시간, 대립, 비대립, 배타로 나눌 수 있고, 시간은 다시 동시와 선행으로 나눌 수 있다. 의존적인 관계는 조건, 원인, 목적으로 나눌 수 있고, 조건은 다시 관여적인 조건과 비관여적인 조건으로 나눌 수 있다. 담화 기능을 하는 연결 어미는 배경의 연결 어미와 부연의 연결 어미로 나눌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Yi, Eun Gyeong photo

Yi, Eun Gyeong
Edu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