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행위자기반모형을 활용한 Personal Mobility와 Partial Autonomous Vehicle의 교통혼잡개선효과 분석Comparative Traffic Analysis between Electric Personal Mobility and Partial Autonomous Vehicle Using Agent-Based Model

Other Titles
Comparative Traffic Analysis between Electric Personal Mobility and Partial Autonomous Vehicle Using Agent-Based Model
Authors
이종덕박인선황기연
Issue Date
2015
Publisher
한국교통연구원
Keywords
교통혼잡; Personal Mobility; Autonomous Vehicle; 행위자기반모형(Agent-Based Model); Traffic Congestion; Personal Mobility; Agent-Based Model; Autonomous Vehicle
Citation
교통연구, v.22, no.1, pp.27 - 44
Journal Title
교통연구
Volume
22
Number
1
Start Page
27
End Page
4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0905
DOI
10.34143/jtr.2015.22.1.27
ISSN
1738-4028
Abstract
2012년 국내 교통혼잡비용은 30조 3천억 원으로 10년 동안 연평균 3.2%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교통수요관리, 교통운영체계 개선 등의 노력이 이루어져 왔으나 그 효과가 크지 않은 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자동차 기술은 빠르게 진보하고 있고 Autonomous Vehicle(AV)과 Personal Mobility(PM) 등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PM 중 일부는 자율주행기술이 접목된 개인을 위한 차량으로, 교통혼잡 개선을 위한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점에 주목하고 AV와 PM의 도입으로 개별차량이 아닌, 전체 교통 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방법론으로 기존 교통 Micro 시뮬레이션이 아닌 개별차량의 속성 조정이 가능한 행위자 기반 모형(ABM)을 활용하였으며, 모형에서 AV와 PM은 일반차량의 인지반응시간이 아닌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인지반응시간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혼잡상태의 도로에서 AV와 PM이 혼재될 경우 전체 교통류 속도가 개선되어 혼잡완화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으며, 향후 AV와 PM 및 시뮬레이션 환경을 보다 현실적으로 구현한다면, 장래 AV와 PM이 실제 도로에 혼입되었을 상황에 대비한 다양한 정책적 제언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Architecture > Urban Engineering Major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