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코로나19로 인한 대학 글쓰기 강좌의 원격화상수업화에 따른 문제점과 대응책 - 2020학년도 1학기 홍익대 <논리적 사고와 글쓰기> 강좌의 사례를 중심으로A Research on the Problems of the Smart Device-based Distance Instruction in college writing classes : using surveyed data from Hongik university students & instructors

Other Titles
A Research on the Problems of the Smart Device-based Distance Instruction in college writing classes : using surveyed data from Hongik university students & instructors
Authors
김미영
Issue Date
2020
Publisher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Keywords
COVID-19; Smart Device-based Distance Instruction; Writing class; Eye contact; Google survey.; 코로나19. 팬데믹; 원격화상강의; 글쓰기 강좌; 아이컨택; 구글 설문 조사
Citation
인문과학, v.120, pp.5 - 49
Journal Title
인문과학
Volume
120
Start Page
5
End Page
4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1856
ISSN
1229-6201
Abstract
이 글은 코로나19로 인해 원격화상강의로 진행된 2020학년도 1학기 글쓰기 강좌를 이수한 홍익대 학생과 교강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글쓰기 과목의 원격강의화에 따른 문제점과 그 대응책을 살펴본 것이다. 화강강의에서 학생들과 교강사들은 공통적으로 토론수업의 어려움이 가장 컸다고 응답했다. 교강사들은 카메라를 켜지 않는 학생들로 힘들어했고, 학생들은 상대의 얼굴을 보지 못한 채 진행된 화상토론의 효율성을 의심했다. 현재의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는 수강생이 많은 글쓰기 강좌의 경우, 학생과 교강사 모두가 카메라를 켜고 수업해도 카메라의 위치가 제각각이어서 아이컨택은 쉽지 않다. 이런 환경에서 교강사나 학생들은 보는 주체가 아닌, 보여지는 객체에 머물게 된다. 이런 상황은 답이 없는 문제를 놓고 토론을 통해 깊이 있는 이해에 다가가며 학생들의 사고력을 키워가야 하는 토론수업에 결정적인 장애요소다. 작문실습의 경우, 원격수업에서는 대면수업에서보다 학생들 글의 편차가 적었다. 수업 중에 학생들이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pc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는 온라인시험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져 대부분의 교강사들은 2020년도 1학기에 과제로 시험을 대체했다. 이런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면 대학은 학생들에게 카메라 켜기 등 원격수업의 지침을 제시할 필요가 있고, 교강사들은 강의 중심의 수업보다 학생활동 중심의 프로젝트형 수업을 구성해야 한다. 교강사들은 발표나 토론, 작문의 주제를 학생들이 흥미를 가질만한 것으로 선정하고, 영상물이나 유튜브, PDF 자료를 골고루 활용하며, 작문실습은 학생들이 남의 글을 베낄 수 없도록 자기서사쓰기와 같은 성찰적 글쓰기의 비중을 늘려야 한다. 온라인시험은 주제만 주고, 자료검색과 선택, 작문과 주석달기까지 글쓰기의 전 과정을 학생이 직접 하도록 하면 될 것이다. 원격강의가 더 효과적인 문장법, 주석 및 참고문헌 작성법 등은 교강사들이 함께 원격강의에 적합한 수업자료를 개발하여 공유하는 것이 좋다. 글쓰기 교육은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함양과 창의적인 글쓰기 역량의 강화가 목표이므로 학생과 학생, 학생과 교강사 간 원활한 소통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아이컨택이 가능한 웹 기반 교육환경의 확보가 원격강의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다. 하지만 교강사와 학생, 학교가 원격화상수업의 특징을 올바로 이해하고 다른 공간의 장벽을 뛰어넘고자 함께 노력할 때 많은 부분이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Department of General Studies > Department of General Studie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Mee Young photo

Kim, Mee Young
Department of General Studies (Department of General Studies)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