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초기 치매 환자의 인지 능력 회복을 위한 디자인 가이드라인 연구 -지남력 회복을 위한 디지털 기기의 행동 기반 사용성 위주로-A Study on Design Guidelines for the Restoration of Cognitive Abilities in Early Stage Dementia Patients -Focusing on Behavior-based Usability of Digital Device for Reality Orientation Recovery-

Other Titles
A Study on Design Guidelines for the Restoration of Cognitive Abilities in Early Stage Dementia Patients -Focusing on Behavior-based Usability of Digital Device for Reality Orientation Recovery-
Authors
이진석유현지윤태현김후성
Issue Date
2020
Publisher
한국디자인문화학회
Keywords
Dementia(치매); Reality Disorientation(지남력 상실); Usability (사용성); Design Guideline(디자인 가이드라인)
Citati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26, no.3, pp.379 - 391
Journal Title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ume
26
Number
3
Start Page
379
End Page
39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2022
ISSN
1598-6497
Abstract
인구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치매와 같은 노화에 따른 정신질환, 인지질환에 대한 전 세계적 관심이커지고 있다. 그중 치매의 발현 직전 단계에서 나타나는 경도인지장애(MCI, Mild Cognitive Disorder)는 일상생활 수행 능력에는 지장이 없으나 비슷한 연령대에비해 인지력, 특히 기억력이 떨어지는 가벼운 인지장애인데, 주변에서 이를 정상적 노화로 간주하여 방치할시 5년 이내에 치매로 전환될 확률이 아주 높은1) 질환이다. 우리나라 65세 이상의 인구 중에 이를 앓고 있는사람의 수는 10명 중 4명꼴인 165만 명에 이르는데2), 이러한 환자들에게 적극적 치료를 진행하면 치매로발전하는 속도를 늦출 수 있다고 밝혀져 있다. 초기치매의 진행 경과를 늦출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밝혀진 바 있는 비(非)약물 치료와 다양한 재활 요법등을 적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초기 치매나 경도 인지장애를 겪는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주요 증상 중에는 자신이 속해 있는 시간, 공간 및인간관계(사람)을 인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지남력(指南力, Orientation)의 저하가 있다. 지남력은 일상 생활과 가장 밀접한 요소들을 인지하는 능력이지만, 현재까지는 정확히 초기 치매 환자의 지남력 재활에 도움을주는 제품의 단독 개발 사례가 없어, 이들은 일반 노인을 위해 개발된 기존 제품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치매의 초기 진행 단계에 부합하는 환자용 지남력 회복 제품을 생산 할 시에 대비한 구체적인개발 기준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지남력의 종류(시간, 공간, 사람)별 저하된 인지기능을 보조 및 재활할 수 있는 평가기준을 수립하여, 치매 초기의 인지력 및 지남력 재활 및 회복에 도움을 주는 제품 및 인터페이스가 환자의 물리적 행동에 기반하는 형태로 만들어질 시에디자인적 참고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개발 지침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문헌 연구와 인터넷을 통한 치매의 평가 척도 및 참고사례 등의 기존 데이터 조사를 채택하였으며, 수집한 데이터에서의 유효 성분을 추출 및 분석한 자료를도표로써 시각화하였다. 연구 내용의 진행 순서는, 먼저 지남력 저하에 대한 기존의 비(非)약물적 치료 프로그램을 조사하고, 초기 치매 환자의 지남력을 보조할 수 있는 제품군의 사례를 통해 보조하는 지남력의종류별 필요한 기능의 평가 기준을 추출하였다. 그후, 행동성에 기반한 지남력 재활 치료 도구 및 서비스의 사례조사를 통해 환자가 현실을 지각하도록 도울 때에 필요한 디자인 요소로서의 세 가지의 협응관계를 도출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결론으로서 ‘1. 디지털 시각적 가상 컨텐츠(화면)와 환자의 물리적인행동 간 연동이 되어야 한다, 2. 다감각적(시각-청각- 촉각) 보상으로 자발적 사용을 유도한다, 3. 사회적지남력을 높이기 위한 사회적 네트워킹을 제공한다, 4. 타인의 도움이 필요하지 않은 독립적 사용성을 만든다.’는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구축하였다. 이로써 치매 초기 환자의 인지능력과 기억력, 특히시간, 공간 그리고 사람에 대한 인지능력인 지남력의회복을 위한 행동 기반의 참여적 사용성을 지닌 재활및 치료 도구를 개발할 시에 디자인 점검사항으로써참고할 수 있을 만 한 제품 및 인터페이스 개발 가이드라인을 만들고자 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International Desing for Advanced Studies > Smart Design Engineering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