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심층인터뷰를 통한 밀레니얼 세대들의 SNS 허위 및 과장·과대 광고에 대한 태도연구Millennial Consumers’ Attitude toward SNS False and Exaggerative Advertising through In-depth Interview

Other Titles
Millennial Consumers’ Attitude toward SNS False and Exaggerative Advertising through In-depth Interview
Authors
엄남현
Issue Date
2020
Publisher
한국디지털정책학회
Keywords
SNS; 허위광고; 과장광고; 밀레니얼 소비자; 브랜드; SNS; false advertising; exaggerative advertising; millennial consumer; brand
Citation
디지털융복합연구, v.18, no.10, pp.459 - 467
Journal Title
디지털융복합연구
Volume
18
Number
10
Start Page
459
End Page
467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2049
DOI
10.14400/JDC.2020.18.10.459
ISSN
2713-6434
Abstract
국내 SNS를 통한 허위 및 과장·과대 광고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SNS를 가장 활발히 사용하고, 전자상거래 경험이 가장 많은 밀레니얼 세대들이 가장 많은 피해를 입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심층인터뷰 방식을 통해 피해를 입은 소비자들과 그렇지 않은 소비자들의 SNS 허위 및 과장·과대 광고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밀레니얼 소비자들은 피해의 유무에 상관없이 SNS 허위 및 과장·과대 광고에 대해 상당히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피해 경험이 있는 밀레니얼 세대들은 SNS 기업들과 허위 및 과장·과대 광고를 집행한 기업들과 브랜드들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태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밀레니얼 소비자들은 SNS 기업들이 소비자보호 차원에서 SNS상에서 벌어지는 허위 및 과장·과대 광고를 제어할 수 있는 자체적 가이드라인 제정이 필요하고, 더 나아가 정부의 적극적인 법적 규제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SNS를 통한 허위 및 과장·과대 광고는 밀레니얼 소비자들의 브랜드 재구매 의도 및 충성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기업들은 SNS 채널을 통해 밀레니얼 소비자들을 타깃으로 광고를 집행할 때는 이러한 밀레니얼 소비자들의 태도를 이해 할 필요가 있다는 실무적 시사점은 본 연구는 제시하고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Schoo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 Schoo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Um, Nam Hyun photo

Um, Nam Hyun
Advertising & Public Relations (Advertising & Public Relations)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