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부정관형사 설정에 관한 일고찰A brief survey for setting up indefinite prenouns in Korean

Other Titles
A brief survey for setting up indefinite prenouns in Korean
Authors
정연주
Issue Date
May-2020
Publisher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Keywords
관형사; 하위 분류; 부정관형사; 지시관형사; 수관형사; 성상관형사; 의문관형사; prenoun; subclassification; indefinite prenoun; demonstrative prenoun; numeral prenoun; attributive prenoun; interrogative prenoun
Citation
Journal of korean Culture, v.49, pp.7 - 42
Journal Title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ume
49
Start Page
7
End Page
4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2258
ISSN
1976-0744
Abstract
지금까지 관형사의 하위 부류는 주로 지시관형사, 수관형사, 성상관형사의 세 가지로 논의되어 왔으나 본고에서는 지시관형사로부터 부정관형사 부류를 분리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이는 관형사의 분포 특성에 근거한 것인데, 부정관형사는 서로 겹쳐 나타날 수 있으며 그때 관형사의 어순이 의미 차이 없이 바뀔 수 있고, ‘이, 그, 저’에 후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그, 저’류 지시관형사나 의문관형사와 구별되는 독자적인 분포 특성을 보여 준다. “부정” 의미를 지니는 관형사는 기존 논의의 ‘지시관형사’ 부류 내에서도 찾아볼 수 있고 ‘수관형사’ 부류 내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제까지 지시관형사, 수관형사로 제시되었던 관형사 중 “정해지지 않음”의 의미를 지니는 관형사들을 추려 내었고, 그것들에 대해 서로 겹쳐 나타날 수 있는 특성, 그때 관형사의 어순이 의미 차이 없이 바뀔 수 있는 특성, ‘이, 그, 저’에 후행하는 특성을 만족하는지를 검토하였다. 이에 따라 원형적인 부정관형사와 비원형적인 부정관형사를 분류하였고, 또 수관형사나 성상관형사에 포함하는 것이 더 적절한 경우도 있음을 언급하였다. 결론적으로 관형사를 지시관형사(의문관형사 포함), 부정관형사, 수관형사, 성상관형사로 하위 분류 할 수 있다고 보았으며, 이들은 ‘지시관형사(의문관형사 포함)-부정관형사(둘 이상 출현 가능)-수관형사-성상관형사’의 어순을 보이는 것으로 정리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Jeong, Yeon Ju photo

Jeong, Yeon Ju
Liberal Ar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