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메를로-퐁티의 지각현상학을 통해서 본 현대미술관의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 전통적 요소가 나타나는 사례를 중심으로 -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영빈-
dc.contributor.author공순구-
dc.contributor.author박지훈-
dc.date.available2021-03-17T07:06:50Z-
dc.date.created2021-02-26-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issn1976-4405-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2347-
dc.description.abstract(연구배경 및 목적) 인간의 삶은 건축공간이 가지는 특성과 인간의 지각을 통해 축척된 경험의 연속이라 할 수 있다. 인간은 그들의 삶에서 오감을 통해 다양한 현상을 지각하고 경험하며, 그 경험을 바탕으로 세상과 소통하고 교류하며 자신과 사회를 발전시켜왔다. 현대미술관의 건축 공간에서도 이러한 양상이 반영 된다. 미술관에서 작품 경험의 공간은 건축공간이 가지는 특성과 경험 주체자인 인간의 오감을 통한 지각에 의해 몰입이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관에서 인간의 작품 몰입 증진을 위하여 인간의 심리적 지각 활동에 의한 건축을 행하는 전통건축의 특성을 이용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메를로-퐁티의 지각현상학과 전통적 요소의 관계성을 바탕으로 감각의 지각체계를 통하여 사례분석 방법을 구체화한다. 공간요소 분석을 통해 가장 일반적이게 사용 되어지는 공간요소의 언어로 축약하여 사용하고, 전통에서 나타나는 건축공간특성을 현상학에 적용하여 연구의 가시성과 정확성을 높인다. 사례 대상관은 전통적 요소가 나타나는 10년 이내에 지어진 한ᆞㆍ중ㆍ일 현대미술관으로 선정하고 앞에서 도출한 공간요소 및 건축요소를 연구의 틀로 선정하여 사례검토를 진행한다. 진행된 사례검토를 바탕으로 건축물의 현상학적 요소가 무엇이며 어느 요소가 부족한지 밝힌다. 궁극적으로는 행위자와 건축공간이 각각의 대상으로 해석되는 것이 아닌, 주체자의 지각을 통해 공간성을 회복하며 소통되는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결과) 전통적 요소가 나타나는 현대미술관들의 사례에서 공간요소는 인간의 주된 지각경험인 시각체계에 의한 경험뿐만 아니라, 오감체계 모두 경험할 수 있는 다감각적 물리적 환경조건을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오감체계의 공간요소 중 동일요소 반복, 빛, 회랑, 역사적 사건이 사례에서 공통적이게 나타남을 보였다. 이 요소들은 공간A에서 공간B로 관람자가 유도동선에 따라 이동할 때 나타나는 건축요소로, 지각현상학에 의한 건축설계 계획 시 주로 전이공간에서 관람자 지각경험이 이루어지도록 유도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미술관의 계획 단계에서 전시공간의 의미가 편향된 경우에 지각현상학적 공간특성 검증을 통해 올바른 본질적 의미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인간과 전시공간이 서로 상호작용에 의해 의미가 생성되고 올바른 메시지가 전달되게 하는 매개 공간을 제시하는 방법론이다. 향후 미술관 건축 계획 시 본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틀을 이용하여 미술관 작품 몰입 증진에 기여되는 공간을 구상되기를 바라며, 도출된 분석틀은 이를 위한 방향성을 검증하는 좌표로서 그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
dc.language.isoko-
dc.language.isoko-
dc.language.isoko-
dc.publisher한국공간디자인학회-
dc.title메를로-퐁티의 지각현상학을 통해서 본 현대미술관의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 전통적 요소가 나타나는 사례를 중심으로 --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Contemporary Art Museum by M. Merleau-Ponty’s Physical Phenomenology for the Method of Space Perception - Focusing on cases where traditional elements appear --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공순구-
dc.identifier.doi10.35216/kisd.2020.15.3.169-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15, no.3, pp.169 - 180-
dc.relation.isPartOf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dc.citation.title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dc.citation.volume15-
dc.citation.number3-
dc.citation.startPage169-
dc.citation.endPage180-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2582379-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지각의 현상학-
dc.subject.keywordAuthor오감체계-
dc.subject.keywordAuthor전통 공간특성-
dc.subject.keywordAuthor건축요소-
dc.subject.keywordAuthor현대미술관-
dc.subject.keywordAuthorPhenomenology of perception-
dc.subject.keywordAuthorFive senses-
dc.subject.keywordAuthorTraditional spatial characteristics-
dc.subject.keywordAuthorArchitectural elements-
dc.subject.keywordAuthorContemporary art museum-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rchitecture Design / Graduate School of Architecture & Urban Design > Architectural Desig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ong, Soon Ku photo

Kong, Soon Ku
Graduate School of Architecture & Urban Design (Architectural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