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전통기술로 제작된 방짜유기의 열간 단조 과정별 미세조직 변화Microstructural Change by Hot Forging Process of Korean Traditional Forged High Tin Bronze

Other Titles
Microstructural Change by Hot Forging Process of Korean Traditional Forged High Tin Bronze
Authors
이재성전익환박장식
Issue Date
2018
Publisher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Keywords
전통기술; 방짜유기; 열간 단조; 미세조직; Traditional techniques; Forged high tin bronze; Hot forging; Microstructure
Citation
보존과학회지, v.34, no.6, pp.493 - 502
Journal Title
보존과학회지
Volume
34
Number
6
Start Page
493
End Page
50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2856
DOI
10.12654/JCS.2018.34.6.05
ISSN
1225-5459
Abstract
현재 유기공방에서는 전통기술로 하나의 방짜유기 숟가락을 만들기 위해 10단계의 작업 공정을 거쳤으며, 형태 제작에 큰 영향을 주는 열간 단조는 3~4단계의 과정을 거친다. 열간 단조를 통해 방짜유기 숟가락의 미세조직은 수지형상의 α상이 미세화되고 잘게 분산되었으며, 두드림이 가해진 부분의 α상에는 쌍정이 생성되었다. 또한 α상은 가해지는 망치질에 따라 점점 다각형에서 원형으로 변형되었다. 이 과정에서 서로 근접한 α상은 합쳐지는 현상이 발생하였고, 담금질 후에도 합쳐진 상태로 존재하였다. 이처럼 여러 개의 α상이 합쳐진 미세조직은 방짜조성의 청동유물에서도 관찰되는 것으로 기술체계의 연관성을 보여준다. 방짜조성의 Cu-22%Sn 합금을 대상으로 실시한 열간 단조 실험결과, 주조 당시 형성된 수지상의 감소율은 가공횟수에 따라 비례했으며, 두드림 작업에 의한 결정립의 미세화는 재질의 강도를 높이는 효과를 준 것으로 판단된다. 고대 유적에서 출토된 청동유물과 전통 유기공방에서 만든 방짜유기에서 동일하게 관찰되는 메자국은 문헌으로 남아 있지 않은 고대의 방짜유기 기술체계가 오늘날의 방짜유기 전통기술로 전승되었음을 보여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cience and Technology > School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