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아토그래피(A/r/tography)를 통한 교사교육에의 접근Approach to Teacher Education through A/r/tography

Other Titles
Approach to Teacher Education through A/r/tography
Authors
김시내
Issue Date
2019
Publisher
한국미술교육학회
Keywords
아토그래피; 연구방법론; 예술기반연구; 예술기반교육연구; A/r/tography; research methodology; arts-based research; art-based educational research
Citation
미술교육논총, v.33, no.2, pp.1 - 31
Journal Title
미술교육논총
Volume
33
Number
2
Start Page
1
End Page
3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2956
ISSN
1229-0440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미술 교사교육에 있어서 예술 교육의 창의성, 정체성에 기초한아토그래피 연구방법에 기반을 두어 예술가로서의 창조성과 연구자, 교사의 통합된정체성을 반영한 연구의 과정들을 소개하고, 개인 포트폴리오를 통해 학습하고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방법적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 학기 동안의 수업과정과 교사들의 연구 사례를 통해 아토그래피의 교육 연구와 미술 교사교육에있어 의미를 다음 네 가지 측면에서 정리하고자 한다. 첫째, 아토그래피적 접근은 다중화된 사회・문화적 정체성의 경험을 이끌어 내고개인만의 독특하고 개별적인 이야기들을 들려준다. 이러한 개별적 경험들은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정치적 맥락에서 해석되며, 이것은 공적인 ʻ연구ʼ가 되기 위한 방법론적 정당성을 부여한다. 둘째, 아토그래피 연구방법은 연구에 있어서 표현과창작을 통한 미술의 고유한 특질인 정서와 감정의 표출을 허용하며, 정서적 앎의세계로 이끈다. 지적 경험과 미적 경험을 통합하고, 감각의 층위에서 사유를 촉발하게 한다. 그리고 아토그래피는 관계적 장치를 마련해주는 예술적 실천의 방법론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셋째, 아토그래피는 삶과 긴밀한 관계를 맺는 과정 속에서 교육적 실천, 예술 실행의 연결을 통해 일상의 경험과 미적 경험을 통합시킨다. 넷째, 아토그래피는 능동적 반성의 행위와 교육적 실제의 개선을 위한 연구와 실천, 예술 실행의 결합으로 테오리아, 프락시스, 포에시스를 통합시킨다. 교육적 실천과예술실행은 이러한 미술교육의 실천 담론 생산에 있어 중요한 과정이며, 아토그래피는예술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교육과 학습을 전제로 하는 교육적 잠재력을 지닌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