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The Plot and Idea of Sookoong Kyunghoerok(수궁경회록) ․ Yongdang Yunghoerok(용당영회록) and Yonggoong Booyunrok(용궁부연록)<수궁경회록>·<용당영회록>과 <용궁부연록>의 구성과 창작 이념

Other Titles
<수궁경회록>·<용당영회록>과 <용궁부연록>의 구성과 창작 이념
Authors
박일용
Issue Date
2018
Publisher
한국고소설학회
Keywords
< 용궁부연록> ; < 수궁경회록> ; < 용당영회록> ; 김시습; 『금오신화』; 『전등신화』; Yonggoong Booyunrok(용궁부연록); Sookoong Kyunghoerok(수궁경회록); Yongdang Yunghoerok(용당영회록); Kim Shiseop(김시습); Keumo Shinhwa(금오신화); Jeondeung Shinhwa(전등신화)
Citation
고소설연구, no.46, pp.135 - 179
Journal Title
고소설연구
Number
46
Start Page
135
End Page
17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3092
DOI
10.23836/kornov.2018.46.135
ISSN
1229-4896
Abstract
<수궁경회록>과 <용당영회록>은 글을 잘하는 선비인 주인공들의 불우(不遇)를 문제 삼은 작품이다. 그런데, 이들 주인공이 불우(不遇) 의식을 해소하는 방식은 <수궁경회록>과 <용당영회록>에서 다르게 나타난다. <수궁경회록>에서는 주인공 여선문이 용왕에게 초청되어 글재주를 인정받는 상상적 보상 체험을 통해 불우 의식을 해소한다. 반면, <용당영회록>에서는 주인공 문인자술이 용궁에서 오자서(伍子胥), 범려(范蠡), 장한(張翰), 육구몽(陸龜蒙) 등의 회고담을 듣고 현실에 대한 자신의 이념을 변화시킴으로써 불우 의식을 해소한다. 한편, <용궁부연록>에서는 <수궁경회록>의 대면 형식과 <용당영회록>의 이념 체계를 선택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주인공이 용왕에 대한 자신의 태도를 변화시켜가는 환상적 심리 체험을 하는 것으로 그려진다. <용궁부연록>에서는 <수궁경회록>의 대면 형식을 수용하여 주인공 한생과 용왕의 대면 형식을 창출하는 한편, <용당영회록>의 주체 형식을 수용하여 타자인 용왕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변화시키는 능동적 주체로서 한생의 형상을 창출한 것이다. 이렇게 주인공 한생이 용왕과 용궁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변화시킴으로써 용왕을 인정하는 과정을 그린 <용궁부연록>은, 작가 김시습이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를 찬탈한 세조를 군왕으로 용인하는 이념적 변화 과정을 우의한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