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The structure of <Korea cheoyongga(고려 처용가)>․ <Hakyunhwadae-cheoyongmoo-hapseul(학연화대처용무합설)> and character of Yuksin(역신)<고려처용가>․<학연화대처용무합설>의 구성과 역신의 성격

Other Titles
<고려처용가>․<학연화대처용무합설>의 구성과 역신의 성격
Authors
박일용
Issue Date
2017
Publisher
한국고전문학회
Keywords
< 고려 처용가> ; < 학연화대처용무합설> ; < 처용랑 망해사> ; 처용; 처용희; < Korea Cheoyongga(고려처용가)> ; < Hakyunhwadae-cheoyongmoo- hapseul(학연화대처용무합설)> ; < Cheoyong-rang Manghae-sa(처용랑망해사)> ; Cheoyong(처용); Cheoyong-hee(처용희)
Citation
고전문학연구, no.52, pp.99 - 131
Journal Title
고전문학연구
Number
52
Start Page
99
End Page
13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3322
DOI
10.17838/korcla.2017..52.99
ISSN
1225-1445
Abstract
<학연화대처용무합설>에서 연행되는 <고려처용가>는 서술자의 발화만으로 이루어지는 디제시스(diegesis)적인 노래이다. 그렇기 때문에 <고려처용가>에서 처용과 역신의 말은 서술자의 입을 빈 간접화법적 진술방식을 지닐 수밖에 없다. 이러한 형식의 <고려처용가>는 서술자가 처용을 향하여 이야기하는 서두 부분과 역신을 향해 이야기하는 나머지 서두 이후의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이들 <고려처용가>의 구성 단락은 각각 <학연화대처용무합설>의 춤과 노래에 대응된다. 서두 부분은 <봉황음>, <정과정>, <정읍> 등의 노래적 연행에 대응되어 역신이 침범했을 때 그리고 역신을 물리쳤을 때 어떠한 상황이 벌어지는가를 그린다. 그리고 서두 이후의 대목은 처용무에 대응되어 역신을 물리치는 처용의 모습과 역신이 침범했을 때 처용이 그를 물리치는 모습을 그린다. <고려처용가>의 또 다른 발화 상대는 그것을 듣는 청중이다. 이는 나례 또는 진연 형식을 통해 <고려처용가>를 향유한 군왕 또는 군왕 주변의 권력층이 역신의 침범을 받는 대상이라는 뜻이다. 그래서 처용가무를 배설한 왕이 처용의 처를 간범한 역신의 행위를 어떻게 받아들이냐에 따라 <고려처용가>가 양재처용, 관처용, 처용희처럼 각기 다른 형태로 향유되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