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조선 초기 內廐의 운영과 留養馬 변동The Operation of Naegu(內廐) and Fluctuation of Yuyang Horses in the Early Joseon

Other Titles
The Operation of Naegu(內廐) and Fluctuation of Yuyang Horses in the Early Joseon
Authors
이홍두
Issue Date
2017
Publisher
서울역사편찬원
Keywords
Naegu; Naeseung Ranch; Naesaboksi; Gyeomsabok; Naegu horses; Yuyang horses.; 내구; 내승목장; 내사복시; 겸사복; 내구마; 유양마.
Citation
서울과 역사, no.96, pp.93 - 121
Journal Title
서울과 역사
Number
96
Start Page
93
End Page
12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3354
ISSN
2466-1465
Abstract
내구의 운영은 궁궐에서 사육하고 조련하는 내구마를 효율적으로 관장하는 것인데, 함경도의 내승자목소와 경기도 전곶의 내승목장을 포함한다. 조선은 개국하면서 사복시가 내구를 관장하였지만, 한양 천도 후에는 내사복시가 내구마를 담당하였다. 태조는 양주부 전곶에 내승목장을 설치하여 공신들에게 내구마를 하사하였고, 태종은 증가하는 내구마를 지방 관아에 분양하였다. 내구는 내사복시와 겸사복이 운영하였다. 내사복시는 태종 9년에 설치되었다는 것이 요즈음 학계의 일반적 경향이지만, 필자는 한양 천도 직전 양주부 홀적방동에 설치한 내구를 내사복시의 설치로 인식하였다. 내구를 운영하는 주체는 내승과 사복인데, 태종이 무재를 겸비한 사복에게 한직을 겸임케 하면서 겸사복이 내구의 운영 주체가 되었다. 세조는 내구마의 사육과 조련 및 내승목장의 관리를 담당하던 겸사복을 내사복시에서 분리 독립시켜 친병 아문으로 삼았다. 내구마의 조련은 내사복시와 사복시가 분담하여 실시했다. 내사복시는 매월 관마와 사마를 각각 3일씩 6일을 조련하고, 세조대부터는 창덕궁 후원에서 별도로 6일을 조련하였다. 사복시의 관마 조련은 내사복시와 같은 날 거행하였고, 사마 조련은 별도로 3일 동안 시행하였다. 내구마도 마상무예를 조련했는데, 그 목적은 여진과의 대치를 상정하여 마상에서 치고 찌르는 법을 가르쳤다. 사복시에서는 국왕이 행행할 때 국왕을 근접 시위하는 선전관과 내의원 및 대소인원에게 유양마를 제공하였다. 유양마는 대체로 3백여 필을 유지하였다. 태조는 유양마를 공신에게 하사하는 용도로 사용하였고, 세종은 6백 7십 필의 유양마를 3백여 필로 감축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교학처 > 교양과(세종)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