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조선 초기 마목장 설치 연구Horse Ranche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Other Titles
Horse Ranche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uthors
이홍두
Issue Date
2017
Keywords
한양천도; 명나라 징마요구; 수도권; 전곶목장; 왕실목장; 녹양목장; 군사목장; 강화도;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세종실록』 지리지; 진도; 매도목장; 도련포목장; 달단마; 토마; capital to Hanyang; horse requisition requests from Ming China; capital region; Jeongot Ranch; royal ranch; Nokyang Ranch; military ranch; Ganghwa Island; Sejong sillok jiriji; Chungcheon Province; Gyeongsang Province; Jeolla Province; Jindo; Yongmaedo Ranch; Doryeonpo Ranch; Daldan horses; native horses
Citation
동북아역사논총, no.55, pp.227 - 262
Journal Title
동북아역사논총
Number
55
Start Page
227
End Page
26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3371
ISSN
1975-7840
Abstract
조선 초기의 마목장 설치는 조선왕조가 한양으로 천도하면서 시작되었다. 그중에서도 명나라의 징마요구, 도성방어를 위한 전마확보, 왕실호위를 위해 지방에서 상경한 갑사목장의 필요성, 야인 정벌을 위한 전마확보가 마목장을 설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먼저 『세종실록』 지리지에 기록된 경기도 마목장은 모두 26개다. 그중 수도권의 양주부와 광주목에 8개, 남양도호부와 경기도 외곽지역인 강화도호부· 인천군 등에 18개의 마목장을 설치하였다. 양주부의 전곶목장은 왕실의 내승목장이었고, 양주부의 녹양목장은 중군과 좌군의 군사목장이었으며, 광주목 금천현의 사외포목장은 우군의 군사목장이었다. 특히 전곶목장에는 무예를 사열하는 강무장을 설치하였고, 해마다 마제를 지냈다. 삼군의 군사목장을 갑사목장이라고 한 것은 삼군의 군사 중 갑사의 숫자가 많았기 때문이다. 경기도 강화도에는 태종이 처음으로 제주목장의 준마 1백여 필을 본 섬인 길상산에 방목하였고, 세종은 태종의 강화도 전 섬의 목장화 정책을 계승하여 강화도 부속섬 신도·장봉도·보음도에 마목장을 설치하였다. 『세종실록』 지리지에 기록된 하삼도 마목장 숫자는 충청도 6개, 경상도2개, 전라도 8개로 총 16개다. 충청도에는 태안군의 다리곶목장, 홍주목의 흥양·대산곶·원산도 목장, 감포현의 토진곶목장, 당진현의 맹곶목장을 설치하였다. 세종 8년에 충청도 마목장을 대산곶목장·흥양목장·원산목장 등 3개의마목장으로 개편하여 체구가 큰 준마는 대산곶목장에서, 체구가 작은 토마는흥양목장에서 방목하였다. 경상도 마목장은 세종대 전반기에 2개, 세종대 후반기부터 중종대까지 16개 마목장 명칭이 전한다. 그리고 『세종실록』 지리지에서 확인되는 전라도 마목장은 8개며, 이후 중종대까지 10개의 마목장을 설치하였다. 태종은 건국 직후 명나라가 제주에 자국의 목장을 설치하려고 하자, 제주목장의 암수 종마 1천 8백 필을 가까운 진도로 옮김으로써 혁신적인 전마생산의체계를 확립하였다. 세종대 전반기 북방의 마목장은 황해도와 평안도에 7개, 함경도에 4개를설치하여 모두 11개가 있다. 황해도에는 해주목의 용매도목장, 옹진현의 기린도·창린도목장, 장연현의 백령도목장, 풍천군의 초도·석도목장이 있다. 그리고 평안도 선천군의 목미도목장, 함경도 함흥부의 도련포목장, 영흥대도호부의말응도목장, 단천군의 두언태목장, 온성부의 대초도목장이 있다. 세종대 후반기부터 중종대까지 황해도 마목장은 5개가 증가했다. 특히 함길도에서는 일찍부터 호마인 달단마와 토마가 교접하여 혼혈의 준마를 생산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교학처 > 교양과(세종)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