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도석인물화에 나타난 도가사상의 고찰과 미술 교육적 활용A study on the Taoism in the Taoist Figure Paintings for the Implications for Art Education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aoism in the Taoist Figure Paintings for the Implications for Art Education
Authors
이주원김선영
Issue Date
2015
Publisher
한국조형교육학회
Keywords
도가사상; 도석인물화; 초월; 상징; 미술 교육적 활용; taoism; taoist figure paintings; transcendency; symbol; art educational implications
Citation
조형교육, no.54, pp.191 - 208
Journal Title
조형교육
Number
54
Start Page
191
End Page
20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3729
ISSN
1225-4177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도석인물화에 나타난 전통적 사상인 도가사상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도석인물화를 구체적으로 분석한다. 그리고 관련된 내용을 바탕으로 미술교육적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전통 안에서 어렵게만 여겨지는 도가적 사상에 관하여 학습자가 쉽고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전통미술의 전통문화 콘텐츠를 현대의 맥락 안에서 새롭게 재조명하여 소통할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데에 가치를 둔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광범위한 도교사상의 개념가운데 초월의 개념에 집중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도석인물화는 도교의 초월개념인 ‘무위(無 爲)’와 자연을 통한 조화의 개념을 알기 쉽게 시각적으로 그려낸 것으로, 그 안에 담겨진 내러티브와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초월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살펴 볼 수 있다. 도석인물화 전반에 나타난 초월은 죽음과 현세 속 한계성에 관한 초월로 나타나며 심사정의 <유해회섬도> 에서는 천지자연과의 조화를 통한 공간의 초월을 보여주고 있다. 구체적인 미술 교육적 제시안으로는 학습자가 초월과 관련된 내러티브를 형성하게 하고 이를 상징화할 수 있는 시각적매체를 활용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도석인물화에 나타난 환상 속 인물들을 바탕으로 학습자가 도석인물화의 도가적 내용을 이해하고 이를 현대적 일상 안에서 접목하여 재창출하는 방식을 통해 구체적인 미술교육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Fine Arts > Oriental Painting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Sun Young photo

Kim, Sun Young
Graduate School of Fine Arts (Oriental Painting)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