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전통 초상화에 나타난 철선묘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Line drawn like wire in the Traditional Portrait for the Implications for Art Education

Other Titles
A study on the Line drawn like wire in the Traditional Portrait for the Implications for Art Education
Authors
김선영이주원
Issue Date
2015
Publisher
한국조형교육학회
Keywords
전통 초상화; 철선묘; 전신사조; 교육적 활용; traditional portrait; line drawn like wire; Junsinsajo; educational implications
Citation
조형교육, no.53, pp.73 - 93
Journal Title
조형교육
Number
53
Start Page
73
End Page
93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3738
ISSN
1225-4177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전통 초상화에 나타난 철선묘의 사상적 배경과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관한 교육적 활용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이는 전통미술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조형요소로 ‘선’이 인식됨에도 불구하고 ‘선’에 관한 일반적으로 나타나기 쉬한 단순하고 획일화된 이해방식에서 벗어나, 조형적 인식과 기법 교육의 다양성을 획득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초상화에 철선묘는 전신사조라는 회화이론을 기반으로, 형태 이외에도 인물의 정신성을 담으려는 미학적 사고가 내재되어 있다. 이 때 전신사조를 이루는 방법으로 이형사신, 즉 형태를 완전하게 갖춤으로 정신을 그릴 수 있다는 개념은 철저한 관찰과 정확한 묘사를 요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철선묘는 전신사조를 이루는 실기적 방법론으로 제시된다. 철선묘는 조선시대 후기 특히 적극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초상화, 풍속화 등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이에 조선시대의 초상화에 나타난 철선묘를 분석해 보기위해 <강세황 초상>과 <채제공 초상>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철선묘를 학생들에게 교육할 수 있는 수업방안을 제시하고 이 때 나타난 학생들의 작품을 분석해 보았다. 이러한 철선묘의 교육적 활용은 붓의 사용이 서툰 현대의 학생들에게 전통회화에 관한 흥미유발을 가져올 수 있고 작품의 완성도와 깊이감을 더해 성취감을 가져올 수 있었다. 이러한 철선묘의 교육을 통해 전통미술 교육에 관한 영역을 확장하고 다양성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러한 고찰을 토대로 실제적인 수업방안을 제안한 본 연구는 현장에서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Fine Arts > Oriental Painting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Sun Young photo

Kim, Sun Young
Graduate School of Fine Arts (Oriental Painting)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