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靈駕薦度의 도상해석 ‘碧蓮臺와 圓相’ -조선후기 甘露圖과 極樂九品圖를 중심으로-Iconography of 'the Soul being Carried to Sukhāvatī靈駕薦度' and 'the Circle圓相' Figure -Focusing on the Nectar painting甘露圖 and Sukhāvatī painting極樂九品圖 of the late Joseon Dynasty-

Other Titles
Iconography of 'the Soul being Carried to Sukhāvatī靈駕薦度' and 'the Circle圓相' Figure -Focusing on the Nectar painting甘露圖 and Sukhāvatī painting極樂九品圖 of the late Joseon Dynasty-
Authors
강소연
Issue Date
2015
Publisher
한국불교학회
Keywords
The Circle; Enlightenment; Blue Lotus Seat; Nectar Painting; Sukhāvatī Painting.; 靈駕薦度; 碧蓮臺; 圓相; 甘露圖; 極樂九品圖
Citation
한국불교학, no.73, pp.341 - 382
Journal Title
한국불교학
Number
73
Start Page
341
End Page
38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3964
ISSN
1225-0945
Abstract
‘靈駕가 薦度되는 모습은 어떻게 묘사되는가’. 佛供儀式의 신앙적 기능 중 가장 핵심적인 것으로, 망혼을 극락으로 인도하는 ‘靈駕薦度’를 들 수 있다. 전국 각지 사찰에서는 49재·영산재·수륙재 등 크고 작은 천도재가, 예로부터 연중연시 행해져 왔다. 본 논문의 연구 대상은, 영가천도와 극락왕생의 목적으로 제작된 조선후기 佛畵 속에서 발견되는 ‘靈駕薦度의 圖像’이다. 그 핵심 도상으로서의 ‘圓相’의 표현과 의미를 주목하고자 한다. 특히 조선후기 靈壇에 모셨던 甘露圖 중 다수의 작품에서 靈駕를 모셔가는 화려한 碧蓮臺 도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런데 같은 유형의 도상이 조선후기의 極樂九品圖 작례들에서도 발견된다. 이에 착안하여 해당 도상의 연원을 조사해본 결과, 조선전기 『御製佛說觀無量壽佛經』變相板本에서 最古本 형식의 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벽련대에 모셔진 ‘영가의 모습으로서의 圓相’은 바로 ‘佛性의 근본자리 모습인 圓相’과 일맥상통하는 도상임을 여타 조선후기 佛畵에서 그 사례를 찾아 상호성을 고찰하였다. 이상, 도상 분석과 더불어 ‘문헌상’에 나타난 표현들을 검토하여 그 상관관계를 증명하였다. 천도재 대표 의식집인 觀音施食과 현존 法要集, 유명 선사들의 靈駕薦度法語, 그리고 禪宗 계통 주요 법문집을 중심으로, 용어적 표현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전통 불화에 나타나는 ‘영가천도의 도상’와 ‘圓相’의 도상학적 의미가, 우리가 환원하는 ‘근본 자리·성품 자리 또는 佛性 자리로서의 회화적 표현’임을 입증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