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독일 낭만주의 소설과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키틀러의 매체론적 관점에서 본 프로이트German romantic novel and Oedipus complex: A study on Freud based on Kittler’s media theory

Other Titles
German romantic novel and Oedipus complex: A study on Freud based on Kittler’s media theory
Authors
최소영
Issue Date
2015
Publisher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Keywords
기록체계; 독일 고전-낭만주의; 가르치는 어머니;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Aufschreibesystem’; german classic-romanticism; teaching mother; Oedipus complex
Citation
현대정신분석, v.17, no.1, pp.111 - 139
Journal Title
현대정신분석
Volume
17
Number
1
Start Page
111
End Page
13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4018
ISSN
1229-666X
Abstract
독일의 매체학자 프리드리히 키틀러에 따르면, 독일 고전-낭만주의 시대인 ‘기록체계1800’은 ‘가르치는 어머니’의 등장과 새로운 알파벳 교육방식이 문자에 대한 이해를 새롭게 함으로써 그 수립이 가능해졌다. 또한 키틀러는 이 시기에 형성된 어머니와 아이, 그리고 아버지의 관계가 훗날 프로이트가 해명하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개념의 원형을 이룬다고 주장한다. 키틀러에 따르면 어머니가 아이에게 음성으로 언어를 가르치는 상황은 매우 에로틱한 면을 가지고 있으며 이때 아이는 어머니를 성적 대상으로 여기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심리상태는 당연히 매우 억압되고 잠재될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프로이트는 ‘꿈의 해석’을 통해 그 심리 형성의 메커니즘을 밝혀내고 이에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라는 명칭을 붙이게 된다. 또한 그는 이를 주체 형성의 매우 중요한 단계로 부각시키면서 정신분석학이라는 강력한 담론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키틀러는 프로이트가 환자들의 이야기를 듣기 위해 당시 등장했던 매체적 방법을이용한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의미 유무를 가리지 않고 모든 소리를 기록하는 축음기는 정신질환자의 무의미해 보이는 말에서 중요한 단서를 포착하는 프로이트적 방식의 원형이라는 것이다. 이렇게 키틀러는 한 사회의 담론과 문화의 ‘무의식적 상황’을 기술매체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있으며 이런 논의 속에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은 그 숨겨진 지층을 새롭게 드러낸다. 본 논문은 프로이트의 담론을 ‘기록체계 1800’의 일종의 효과로 보는 키틀러의 주장을 선명히하고, 이를 통해 정신분석학적 논의의 탄생과 의미를 매체론적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Fine Arts > Department of Art Studie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