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Study on Yunpil-festival(潤筆宴) in Yonggoong-Booyun-rok<용궁부연록><용궁부연록>에 설정된 윤필연의 의미와 그 치유적 함의

Other Titles
<용궁부연록>에 설정된 윤필연의 의미와 그 치유적 함의
Authors
박일용
Issue Date
2015
Publisher
한국문학치료학회
Keywords
Keumo-Sinhwa(금오신화); Yonggoong-Booyun-rok< 용궁부연록> ; nterposed poetry(삽입시); Yunpil-festival(潤筆宴); Healing effect(치유적 함의); 금오신화; 용궁부연록; 삽입시; 윤필연 삽입시; 치유적 함의
Citation
문학치료연구, v.34, pp.27 - 57
Journal Title
문학치료연구
Volume
34
Start Page
27
End Page
57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4072
ISSN
1738-3854
Abstract
윤필연에는 1) 아미들에 의해 불려진 <벽담지곡>과 총각들에 의해 불려진 <회풍지곡>이 대립 쌍의 형태로 배치된 뒤 그들 정서를 아우르려는 용왕의 <수룡음>이 덧붙여진 용궁과 용왕의 노래, 2) 곽개사가 <팔풍무>를 추면서 부른 노래와 현선생이 <구공무>를 추면서 부른 노래가 대립 쌍의 형태로 배치된 뒤 그들의 정서를 넘어서려는 산림정괴 목석망량들의 노래가 덧붙여진 신하와 잡신의 노래, 3)서로 대립적인 정서를 드러내는 조강신과 낙하신의 시의 쌍과 그것을 아우르는 벽란신의 시로 구성되는 하신들의 노래, 그리고 마지막으로 4) 용궁 잔치의 주빈이면서 전체를 조망하는 한생의 노래가 구조적으로 배치되고 있다. 그리고 이들 각각의 시에서는 단지 눈앞에 펼쳐진 윤필연에서 느끼는 환락과 감회만이 노래되는 것이 아니라, 용왕이 등극한 과거의 상황에서부터 용궁 질서를 일신하기 위해 윤필연을 열게 된 과정, 그리고 눈앞에 펼쳐지는 윤필연의 모습을 보면서 느끼는 감회가 윤필연에 참여하는 개별 주체마다 각기 다른 형태로 표출된다. 이러한 윤필연의 모습은 ‘자신과 길이 다른 곳(神人路隔)이라면서 자신이 갈 수 없는 곳으로 생각하던 용궁 세계를 한생이 받아들이고 인정하는 심리적 과정이 투사되어 형성된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