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개인 맞춤화 회상치료법 디지털 서비스 디자인 제안 -경도 치매환자를 중심으로-Personalized reminiscence therapy digital service design proposal -Focusing on patients with mild dementia-

Other Titles
Personalized reminiscence therapy digital service design proposal -Focusing on patients with mild dementia-
Authors
김혜선최동하김재엽
Issue Date
2021
Publisher
한국디지털정책학회
Keywords
서비스디자인; 음성 AI; 치매; 경도 치매; 회상요법; Service Design; Dementia; Mild dementia; Reminiscence Therapy; Customizing
Citation
디지털융복합연구, v.19, no.6, pp.299 - 308
Journal Title
디지털융복합연구
Volume
19
Number
6
Start Page
299
End Page
30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5812
DOI
10.14400/JDC.2021.19.6.299
ISSN
2713-6434
Abstract
본 연구는 경도 치매환자가 AI 음성 기술을 활용한 개인 맞춤화된 회상 치료 디지털 서비스를 이용할 때 나타나는 유의미한 효과와 실효성을 파악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이해관계자 인터뷰 결과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음성 AI 기술을 이용한 ‘개인 맞춤화’라는 디자인 아이디어를 도출했으며, 프로토타입을 만들어 1, 2차에 걸쳐 사용성 테스트를 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회상 치료 자체가 개인 경험에 영향을 많이 받으며, 맞춤화된 치료프로그램을 통해 치료 상태와 결과에 따른 맞춤 돌봄 가이드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개인 맞춤화’라는 컨셉이 기존 치료 방법보다 치료의 질을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경도 치매환자가 지닌 깜빡 잊는 인지적 특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이슈들이 관찰되어, 오류를 예방하고 사용성을 높일 수 있는 마이크로인터랙션을 연구한다면 서비스의 사용성을 더욱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Fine Arts > Industrial Design Major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Jae Yeop photo

Kim, Jae Yeop
College of Fine Arts (Industrial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