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북한이 지향하는 여성상 비교: 정부간행 잡지기사를 중심으로Comparison of Reference Types of Women in South and North Korea: Focusing on Articles Published by Government Magazines

Other Titles
Comparison of Reference Types of Women in South and North Korea: Focusing on Articles Published by Government Magazines
Authors
신형덕박주연유남원
Issue Date
2021
Publisher
아시아.유럽미래학회
Keywords
여성상; 여성운동; 페미니즘; 자유주의 및 사회주의 체제; 북한여성; reference type of women; women’s right movement; feminism; liberal and socialist system; women in North Korea
Citation
유라시아연구, v.18, no.1, pp.25 - 45
Journal Title
유라시아연구
Volume
18
Number
1
Start Page
25
End Page
4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5941
DOI
10.31203/aepa.2021.18.1.002
ISSN
1738-3382
Abstract
본 연구는 자유주의 체제와 사회주의 체제에서 바람직하게 여겨지는 여성상에 대해 남한과 북한 사회의 자료를 기반으로 살펴보았다. 고착된 사회적 성역할에서 벗어나서 여성의 권리 향상을 추구 하는 흐름은 1840년대 이후 페미니즘의 조류를 통해 자유주의 및 사회주의 체제를 막론하고 지속적으로 이어져왔다. 그러나 두 체제의 상이한 정치적 지향성과 분석 대상 국가의 역사적 상이성 등으로 인해 자 유주의 체제와 사회주의 체제의 바람직한 여성상을 직접적으로 비교하는 연구는 이루어지기 힘들었다. 본 연구는 분단 이전까지 동일한 정치적 체제를 공유했고 지금도 유사한 문화와 정서를 공유하고 있는 남한과 북한 사회에서 바라보는 바람직한 여성상을 각 사회의 정부간행 잡지 수록기사를 중심으로 비교 했다. 사회적 활동이 두드러지는 여성에 대해 중점적으로 기사화한 남한과 북한의 정부간행물인 <조선 녀성>과 <위클리 공감>에 2014년-2018년에 발표되었던 161개 (남한 62개, 북한 89개) 잡지기사를 기반 하여 남북한 사회에서 지향하는 여성상에 대해 조사했다. 특히 여성상의 기준으로서 남한의 경우는 여성 단체협의회의 수상자 선발기준 네 가지를, 북한의 경우는 여성동맹규약에서 바람직한 북한 여성상으로 언급하는 네 가지 기준을 사용하여 각 기준에 해당하는 기사의 분포를 분석했다. 그 결과 여러 덕목 중 에서 남한과 북한은 공통적으로 여성의 적극성과 주도성을 가장 중시하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두 번 째로 중시하는 덕목으로서 남한의 경우 여성의 능력을, 북한의 경우 양육의 책임을 강조하는 것을 발견 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성역할과 관련된 비교문화 연구의 차원에서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페미니즘 이론을 중심으로 진행된 사회적 성역할에 대한 연구의 흐름은 자유주의 페미니즘은 페미니즘 의 제1의 물결(1840~1920년대)을 형성했던 자유주의 페미니즘, 제2의 물결(1960~1990년대)을 형성했던 사회주의/급진주의 페미니즘, 그리고 제3의 물결(1990년대 이후)을 형성하고 있는 포스트모더니즘 페미 니즘으로 이어져 왔다. 이러한 흐름은 역사와 문화가 상이한 자유주의 국가들과 사회주의 국가들에서 각 각 형성된 사회적 성역할에 대한 연구의 차이를 보여주는 반면에, 상이한 사회체제에서의 페미니즘 연구 를 직접 비교하는 것은 역사와 문화의 상이함으로 인해 쉽지 않다. 그러나 근대 이전까지 동일한 역사와 문화를 공유했던 남한과 북한 사회를 기반으로 한 본 연구는 페미니즘의 이슈가 자유주의와 사회주의라 는 사회 체제에서 받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는 하나의 사례를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 Business Administration Major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hin, Hyung Deok photo

Shin, Hyung Deok
Business Administration (Business Administr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