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여성작가의 인물화를 통해 본 타자적 시선과 여성이미지-천경자와 박래현 작품을 중심으로A study on “The Other’s Gaze” and Female Image of a Woman through the Figure Paintings of a Female Artist.

Other Titles
A study on “The Other’s Gaze” and Female Image of a Woman through the Figure Paintings of a Female Artist.
Authors
이은호
Issue Date
2021
Publisher
한국동양예술학회
Keywords
Korean Art; Oriental Painting; Female Artist; Female Figure Painting; The Other’s Gaze; 한국미술; 동양화; 여성작가; 여성인물화; 타자적 시선
Citation
동양예술, no.50, pp.507 - 532
Journal Title
동양예술
Number
50
Start Page
507
End Page
53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6019
ISSN
1975-0927
Abstract
‘주체적 시선(主體的 視線)’이란 주체가 대상을 바라볼 때의 시선을 말한다. 반면 ‘타자적 시선(他者的 視線)’이란 사회구조에 의해 학습된 타자성을 자신의 주체성으로 알고 대상을 바라볼 때의 시선을 의미한다. 남성의 시선은 여성을 성적(性的)대상 (팜므파탈, 악녀)과 비성적(非性的)대상(성녀, 어머니)으로 보거나 둘이 혼합된 존재로 인식한다. 이것은 여성을 ‘타자로 보는 시선’이다. 부계 중심의 사회에서 남성은 주체이고, 여성은 타자이다. 타자로서 여성은 남성들에 의해 주입된 가치관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고, 이러한 여건 속의 여성작가는 자신의 경험이나 자의식을 작품 속에 온전히 투사하는 것이 어려운 일이다. 한국 근대 여성작가의 여성인물화에는 작가의 주체적 시선보다 ‘남성적 시선’으로 대상화된 여성이미지가 대부분이었다. 근대 여성인물화에는 자국 남성들의 시선뿐 아니라 일본의 식민정책 등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져 다중적으로 타자화된 여성이미지가 표현되었다. 기생을 연상시키는 정형화된 미인과 부계적 모성성을 강조한 현모양처상이 주로 그려졌으며 여성의 실제와는 괴리감이 있었다. 이는 남성작가나 여성작가의 작품에서 차이가 없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여성작가들이 남성과 같은 방식으로 여성을 바라보았다는 것이고, 이때 여성작가들의 시선은 ‘타자로서의 시선’이었다는 점이다. 이는 여성작가들이 가부장적 관습에 의해 학습된 남성적 시선을 내재화한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근대기에 화업을 시작한 천경자와 박래현의 인물화에서도 이러한 시선의 특징을 볼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두 여성작가들의 작품 속 여성의 이미지를 남녀의 ‘시선’의 차이로 분석해 보았다. 천경자의 초기작품 속 여성이미지 에서는 타자적 시선과 주체적 시선이 혼융되어서 만들어낸 분열적 시선을 볼 수 있었다. 사회적 약자이자 현모양처상에 위배되는 타자로서 현실의 고통과 한을 직접적으로 그려내기보다, 초현실적 화면을 형상화하여 심리적 도피처로 삼았다. 박래현의 시선은 초기작품에서는 남성적 시선을 수용한 여성이미지가 눈에 띄었다. 성적대상으로 표현된 경우는 여성의 신체적 특징을 과장되게 표현한 나체화와 기생의 이미지의 미인도 양식이었고, 남성에게 바람직한 여성으로 느끼게 하는 비성적 대상의 여성인물은 현모양처, 소녀의 이미지로 재현되었다. 두 여성작가는 한국미술사에 큰 족적을 남긴 작가들이다. 그러나 이들 역시 활동 초기에는 시대의 타자들로서 자신들의 주체성과 개성을 작품에 표현하지 못하였으며, 창작주체로서 독자적인 예술세계를 펼쳐내기까지 고되고 지루한 시간과 노력이 있었음을 미루어 짐작해 볼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Fine Arts > Oriental Painting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Eun Ho photo

Lee, Eun Ho
Graduate School of Fine Arts (Oriental Painting)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