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실증형 광고 소구가 소비자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자기조절모드의 조절효과 연구A Study on the Moderation Effect of Self-Regulatory Mode on the Influence of Demonstrative Ad. Appeal on Consumers’ Attitudes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oderation Effect of Self-Regulatory Mode on the Influence of Demonstrative Ad. Appeal on Consumers’ Attitudes
Authors
우정숙장동련여준상
Issue Date
2014
Publisher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Keywords
Demonstrative Ad. Appeal; Self-Regulatory Mode; Consumer Attitude; 실증형 광고 소구; 자기조절모드; 소비자 태도
Citation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12, no.4, pp.123 - 132
Journal Title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ume
12
Number
4
Start Page
123
End Page
13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6835
DOI
10.18852/bdak.2014.12.4.123
ISSN
1738-0863
Abstract
광고의 소구 유형은 미디어의 발달로 인해 그 방식이 다양하게 변화되고 발전되어 왔다. 그 중 실증형 광고 소구는 제품이 다른 제품보다 뛰어나다는 것을 실제 증명해 보여주는 광고 소구로써 실무에서 많이 활용되어지고 있는 유형 중 하나이다. 하지만 아직 실증형 광고 소구와 관련된 다양한 효과를 다룬 연구들이 부족한 실정이며, 다른 변수에 의한 조절효과를 살펴본 연구 또한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증형 광고 소구가 소비자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소비자의 개인차 변수의 하나인 자기조절모드를 투입하여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가상 광고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실증적 소구 유무(실증/비실증)가 광고 태도, 제품 태도,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자기조절모드 유형(평가지향적/행동지향적 모드)이 어떠한 조절적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광고 태도는 실증/비실증형 소구와 자기조절모드 사이에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두 번째, 제품 태도에서도 실증/비실증형 소구와 자기조절모드 사이에 상호작용 효과가 한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구매 의도는 실증/비실증형 소구와 자기조절모드 사이에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실증형 광고 소구의 효과가 자기조절모드라는 개인 성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함으로써 광고 실무자에게 제품 광고의 제작 시 표적 소비자의 개인성향 파악의 중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Fine Arts > Visual Communication Design Major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ang, Dong Ryun photo

Chang, Dong Ryun
Fine Arts (Visual Communication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