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적 디자인유머에 관한 연구-국내 인쇄매체 공익광고에 나타난 디자인유머를 중심으로-A study on the Korean style design humor -Focused on the Design humor appeared in public service advertising of domestic print media-

Other Titles
A study on the Korean style design humor -Focused on the Design humor appeared in public service advertising of domestic print media-
Authors
박영원서유선
Issue Date
2013
Publisher
한국기초조형학회
Keywords
Korean; Desgn; Humor; 한국적; 디자인; 유머
Citation
기초조형학연구, v.14, no.2, pp.139 - 148
Journal Title
기초조형학연구
Volume
14
Number
2
Start Page
139
End Page
14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7854
ISSN
1598-8635
Abstract
21세기 정보화 사회에서 세계화되는 과정에서 국가적 정체성을 확보한다는 것은 쉽지 않다. 한국 특유의 역사적 기반을 바탕으로 한국고유의 정서 및 문화를 가시화하고, 한국적 정체성을 창조해 나감에 있어서 디자인의 역할은 크다. 특히 한국적 문화를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 공유하고 이를 실체화하는 방법은 중요하다. 이에 본고는 한국적 정서와 이를 반영한 창의적인 디자인 작업 중 유머 소구를 중심으로 한국적 디자인유머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법에 대해 연구하고 광고에서 한국적 디자인유머가 효과적 메시지 전달에 어느 정도 사용되는지를 파악하였다. 한국적 디자인유머는 한국적 정서를 반영한 디자인으로 유머의 유형은 폴켈트(Volkelt)의 유머유형 중 한국의 사회적, 역사적, 자연환경 등을 고려해 볼 때 해학과 풍자가 한국적 유머유형에 해당된다. 한국적 정서를 문헌 고찰을 통해 정, 한, 흥, 우리성, 의례성 기준으로 국내 사회전반에 걸쳐 한국적 정서에 호소하는 광고 캠페인이라고 할 수 있는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의 인쇄매체 공익광고에 나타난 한국적 디자인유머를 분석하였다. 롤랑바르트의 의미작용 이론을 중심으로 내용을 분석한 바, 분서대상 광고의 52.4%가 한국적 디자인유머 성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문헌 고찰에서 파악된 한국적 정서를 대표하는 ‘정’, ‘한’, ‘흥‘의 유목에 해당 되는 광고보다 ’우리성‘과 ’의례성‘ 경우 절반 이상의 비율로, 광고 아이디어의 독창성과 현 세대 주류의 호감도를 반영한 표현들로 분석되었다. 이처럼 국내 인쇄매체 공익광고에서의 한국적 디자인유머의 가능성을 파악하였는데, 향후 한국적 정서 의 시대적 변화에 따른 한국적 디자인유머를 더욱 정교하게 연구하여 광고 등에 반영하여야 함을 제안할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 And Art > School of Design and Media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ark, Young won photo

Park, Young won
College of Design and Arts (School of Design Convergenc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