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홍수범람도 불확실성 해석을 위한 인공위성사진의 활용The Use of Satellite Image for Uncertainty Analysis in Flood Inundation Mapping

Other Titles
The Use of Satellite Image for Uncertainty Analysis in Flood Inundation Mapping
Authors
정영훈류광현이충성이승오
Issue Date
2013
Publisher
대한토목학회
Keywords
홍수범람도; GLUE; Landsat; F 통계량; ISODATA; Flood inundation map; GLUE; Landsat; F-statistic; ISODATA
Citation
대한토목학회논문집(국문), v.33, no.2, pp.549 - 557
Journal Title
대한토목학회논문집(국문)
Volume
33
Number
2
Start Page
549
End Page
557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7906
DOI
10.12652/Ksce.2013.33.2.549
ISSN
1015-6348
Abstract
정밀한 홍수 범람도는 홍수의 공간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의사 결정자나 설계자들에게 전달할 수 있다. 수리모형을 이용하여 홍수 범람도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확실하게 정의되거나 측정되지 않은 조도계수와 수위유량관계식으로부터 얻은 유량은 불확실성을 일으키는 핵심 요인들이다. 또한, 홍수 범람도에 대한 불확실성 해석을 위해서는 관측 자료가 필요한데, 홍수 범람 의 관측 자료는 인공위성영상을 이용하여 확보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수리모형과 인공위성자료를 이용하여 조도계수와 유량이 홍수범람도 제작에서 일으키는 불확실성을 정량적으로 산정하는 것이다. 미국 Illinois주 Metropolis시 주위의 Ohio 강에 대하여 HEC-RAS과 지형분석을 이용하여 홍수 범람를 모의하고 ISODATA (Iterative Self-Organizing Data Analysis)분류 방법으로 Landsat 5TM 위성 영상으로부터 수체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수체는 GLUE (Generalized Likelihood Uncertainty Estimation)에서 우도측정(F-통계량)을 계산하는데 관측 자료로 이용되었다. GLUE는 누적확률 5 %와 95 %에 각각 해당하는 74.59 km 2와 151.95 km 2의 홍수범람면적을 산정했다. 홍수 범람도 구축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확실성을 정량적으로산정하는 것은 효율적인 홍수방어 계획을 실현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거라 사료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 >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Seung Oh photo

Lee, Seung Oh
Engineering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