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서울시 가구구조 유형별 공간적 분포 및 통행발생 요인 분석Analyzing Spatial Distribution and Trip Generation Factors by Household Structure in Seoul

Other Titles
Analyzing Spatial Distribution and Trip Generation Factors by Household Structure in Seoul
Authors
추상호박성경
Issue Date
2013
Publisher
한국교통연구원
Keywords
가구구조; 가구통행실태조사; 공간분포; 통행특성; 포아송 회귀분석; Household Structure; Household Travel Diary Survey; Spatial Distribution; Travel Characteristics; Poisson Regression Analysis
Citation
교통연구, v.20, no.1, pp.1 - 13
Journal Title
교통연구
Volume
20
Number
1
Start Page
1
End Page
13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7933
DOI
10.34143/jtr.2013.20.1.1
ISSN
1738-4028
Abstract
최근 우리나라는 경제위기 및 사회구조 변화에 따라 독신가구, 이혼가구, 노인가구 등 가구구조의 변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개인이 가구의 일원으로써 가구구성원과 상호간에 영향을 주고받음을 고려하면 이러한 가구구조의 변화가 교통에 미치는 영향은 적지 않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구구조를 고려한 통행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의 가구구조를 5개 유형으로 분류하여 가구구조별 공간적 거주분포를 살펴보고 가구구조 유형에 따른 통행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가구구조 유형별로 개인의 통행발생에 관한 포아송 회귀모형을 구축하여 통행의 영향요인을 비교분석한다. 분석자료는 수도권 교통본부에서 제공하는 2010년 수도권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중 서울시에 해당되는 자료이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구구조별 분포를 보면, 주로 자녀가 있는 경우는 교육시설이 밀집되어 있는 곳에 분포하는 경향이 있으며, 독신가구의 경우 도심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통행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경우 가구구조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통행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가구원수, 버스정류장 접근시간, 고령화 비율 등이 있다. 반면, 자동차 보급률, 3차 산업의 산업혼합도, 문화시설 건물연면적, 엔트로피지수 등은 통행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oo, Sang ho photo

Choo, Sang ho
College of Architecture and Urban Planning (Urban Engineering)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