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축소모델을 통한 고속철도 차량의 진동특성 해석 및 검증Analysis of the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a High-Speed Train using a Scale Model

Other Titles
Analysis of the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a High-Speed Train using a Scale Model
Authors
한재현김태민김정태
Issue Date
2013
Publisher
한국철도학회
Keywords
Scaled bogie; Dynamic analysis; High-speed train; Jaschinski similarity; 축소대차; 동특성; 고속철도; Jaschinski 상사기법
Citation
한국철도학회논문집, v.16, no.1, pp.7 - 13
Journal Title
한국철도학회논문집
Volume
16
Number
1
Start Page
7
End Page
13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7978
ISSN
1738-6225
Abstract
철도차량의 실차 규모 동특성시험은 설비 구축, 대차의 제작 및 시험 조건의 설정등과 관련하여 비용,시간 등의 증대로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실 환경에서 차량 진동문제와 안전성을 평가하기위한 목적으로 축소모델을 제작하고, 개발된 축소모델이 해당 철도차량의 동특성을 정밀하게 모사하는지를 검증하는 평가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축소이론은 Jaschinski 상사기법의 이론을 적용하였으며, 1/10 축소모델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축소 대차의 상하 진동에 초점을 맞혀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시스템은 구동부, 보기, 대차 등 3개의 하부구조로 구성되었으며, 실제 차량으로 환산 시 400km/hr까지 실험가능 하도록 목표로 하였다. 축소 대차의 설계 및 제작과 함께, 동역학해석 프로그램인 ADAMS/View를 이용하여 고유치 해석을수행하였다. 전산해석으로 도출된 고유진동수는 실험결과와 비교 분석되었다.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초기 5개의자유도에 상응한 고유진동수를 비교한 결과, 개발된 상사 이론에 따른 축소모형은 충분한 신뢰성을 확보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축소모델은 대학실험실에서 차량진동모드를 모사하는 용도로 기획되었으나,추후 자유도의 추가보완을 통해 고속철도 차량의 대차와 보기구조 동특성 해석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 > Department of Mechanical and System Design Engineering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