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모바일 동영상 제작 애플리케이션 사용성 평가 연구 - 로드무비(Road Movie)와 스냅무비(Snap Movie)를 중심으로 -Evaluation of Usability for Mobile Video Production Application - Focus on Road Movie and Snap Movie -

Other Titles
Evaluation of Usability for Mobile Video Production Application - Focus on Road Movie and Snap Movie -
Authors
유예리김승인
Issue Date
2014
Publisher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Keywords
Mobile Video; Usability Evaluation; Social Network
Citation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14, no.3, pp.285 - 294
Journal Title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ume
14
Number
3
Start Page
285
End Page
29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8464
DOI
10.17280/jdd.2014.14.3.029029
ISSN
1598-2319
Abstract
최근 늘어나고 있는 인터넷 사용과 더불어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다. 그 곳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그 중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동영상 포스팅 이용의 증가로 동영상 제작 애플리케이션들이 활성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자주 사용되고 있는 동영상 제작 관련 애플리케이션으로 로드무비와 스냅무비를 대상으로 각 사용성 평가를 분석하여 지속적인 이용자 확보와 가이드라인 개선을 위한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1차로 문헌연구를 통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전반적인 사용자 현황과 동영상 업로드 사용빈도를 분석하였고, 2차로 사용자들에게 두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태스크를 준 다음, 피터 모빌(Peter Morville)의 허니콤 모델(Honeycomb Model) 재구성 질문지를 토대로 사용성 평가를 하였다. 이와 같은 기준으로 로드무비는 전반적으로 깔끔한 디자인에 높은 화질을 가지고 있지만, 연동성과 접근성에 관한 가이드라인이 개선되어야 한다. 스냅무비는 전반적인 가이드라인 시스템이 잘 되어있지만, 모든 페이지의 버튼위치와, 동영상 저장 페이지가 개선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로드무비와 스냅무비의 서비스를 개선하고 충족시키기 위한 필요사항들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전반적으로 접근성, 유연성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개선되길 바란다. 둘째, 분할촬영에 대한 더 나은 가이드라인에 대한 개선방안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다른 애플리케이션과의 차별된 특징적인 시스템을 기대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동영상 제작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가이드라인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International Desing for Advanced Studies > Digital Media Desig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Seung In photo

Kim, Seung In
International Desing for Advanced Studies (Major in Digital Media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