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극한수문사상의 모의를 위한 포아송 클러스터 강우생성모형의 적용성 평가Evalu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the Poisson Cluster Rainfall Generation Model for Modeling Extreme Hydrological Events

Other Titles
Evalu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the Poisson Cluster Rainfall Generation Model for Modeling Extreme Hydrological Events
Authors
김동균권현한황석환김태웅
Issue Date
2014
Publisher
대한토목학회
Keywords
Extreme flood; Extreme rainfall; Poisson cluster; Rainfall generation model; 극한홍수; 극한강우; 포아송 클러스터; 강우생성모형
Citation
대한토목학회논문집(국문), v.34, no.3, pp.773 - 784
Journal Title
대한토목학회논문집(국문)
Volume
34
Number
3
Start Page
773
End Page
78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8551
DOI
10.12652/Ksce.2014.34.3.0773
ISSN
1015-6348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극한강우와 극한홍수를 모의하기 위한 MBLRP 포아송 클러스터 강우생성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국내 61개의 기상청 지상기상관측시스템의 강우량 관측지점에 대하여 고립입자 군집화 최적화(ISPSO) 기법을 적용하여 모형의 매개변수를 추정하고, 추정된매개변수를 바탕으로 각 강우관측지점에서 100년치의 가상 강우시계열을 생성하였다. 생성된 강우시계열을 이용하여 확률강우량 및 확률홍수량을 산정하고 이 값들을 관측치에 근거하여 산정된 값들과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모형에 의한 확률강우량은 관측치보다 평균적으로 20~42% 작았으며, 강우의 재현기간이 증가할수록 과소산정되는 정도가 증가하였다. 확률홍수량의 경우, 모형에 의한 값이 관측치에 근거한 값보다 31% 에서 50% 작았으며, 이 과소산정량은 홍수의 재현기간의 증가 및 유역의 불투수도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 >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Dong Kyun photo

Kim, Dong Kyun
Engineering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