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경험디자인 요소의 정서언어 측정에 관한 상관관계 연구 - 스마트 디바이스 앱 사용경험을 중심으로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User Experience Design Factors and the Emotional Linguistic Evaluation - Focused on the Smart Device Applications -

Other Titles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User Experience Design Factors and the Emotional Linguistic Evaluation - Focused on the Smart Device Applications -
Authors
최영현김승인
Issue Date
2014
Publisher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Keywords
User Experience Design Factors; Emotional Linguistic Evaluation Tool; Failure Experience
Citation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14, no.2, pp.349 - 361
Journal Title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ume
14
Number
2
Start Page
349
End Page
36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8657
DOI
10.17280/jdd.2014.14.2.033033
ISSN
1598-2319
Abstract
최근 스마트 디바이스의 보급이 증가됨에 따라서 지식기반 창조 서비스 산업의 중요성이 부각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시점에서 지식기반 창조 서비스를 제공자 중심의 생산, 유통, 사용, 폐기되는 과정이 아닌, 사용자 중심의 탐색, 선택, 경험, 폐기, 재사용의 활동에서 경험하게 되는 개별 경험의 단위들과 각각의 개별 경험들을 결합된 총체적 경험의 단위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경험의 단위 중에서 스마트 디바이스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앱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획득하게 되는 경험 중 동일 자극물에 대하여 “실패경험과 성공경험” 따라서 경험디자인 요소에 대한 사용자 중심의 경험 정서언어 측정 변화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리고 어떠한 상관성을 가지고 있는지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경험 정서 언어측정과 직접측정에 있어서 동일한 경험에 대한 반응 패턴이 유사하게 타나내는 것으로 확인되어졌다. 본 연구를 통해서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정서 언어를 가지고 경험 정서의 상태의 흐름을 평가 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경험 정서 측정에 있어서 현재의 경험 정서상태의 만족스럽지 못한 정서 상태를 찾아내어 개선하는데 활용 가능 할 것으로 예상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International Desing for Advanced Studies > Digital Media Desig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Seung In photo

Kim, Seung In
International Desing for Advanced Studies (Major in Digital Media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